제목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91
용량 935.89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pdf 935.8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1-1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5 

EU 공동연구센터, 공공 부문의 AI 역량 및 거버넌스에 관한 보고서 발간

 

£ 공공 부문의 AI 역량과 거버넌스 관행 확립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권고사항 제시
 

EU 집행위원회 산하의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 JRC)가 2024년 11월 25일 공공부문의

AI 역량 및 거버넌스 관행을 확립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보고서를 발간
 

∙ 보고서는 학술 문헌 검토와 온라인 전문가 워크숍, AI를 도입한 유럽 공공기관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 부문의

   AI 역량과 거버넌스 관행을 파악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권고사항을 제안
 

(AI 역량) 보고서는 공공 부문에서 AI에 참여하는 개인에게 필요한 속성으로 정의되는 AI 역량에 대하여

△기술 △관리 △정책·법률·윤리의 세 가지 차원 및 △태도 △운영 △리터러시의 세 가지 교차 그룹으로 구성된 프레임워크를 제시

 

영국 정부, 사이버 안보 위협에 대응한 AI안보연구소 신설 계획 발표

 

영국 AI안보연구소, 산학관 협력으로 AI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 평가 계획

 

팻 맥패든(Pat McFadden) 영국 랭커스터 장관*이 2024년 11월 25일 런던에서 열린 NATO 사이버 안보 회의 연설에서

AI안보연구소(Laboratory for AI Security Research, LASR)를 신설한다고 발표


* 영국 내각부에서 특정 부처를 맡지 않는 장관직으로 국가안보와 관련된 업무도 일부 담당
∙ 맥패든 장관은 AI안보연구소의 설립 이유로 기술 발전에 따라 사이버 위협도 진화하면서 영국이 AI 군비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새로운 위협으로부터 영국과 동맹국을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설명

 

∙ AI안보연구소는 산업계·학계·정부의 최고 전문가를 모아 AI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계획으로,

   맥패든 장관에 따르면 AI는 더 나은 사이버 방어 도구를 개발하고 정보기관이 더 유용한 정보를 수집·분석·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기존의 사이버 위협을 증폭시키고 있는 상황

 

영국 정부는 AI안보연구소에 822만 파운드(한화 약 146억 원)의 초기 자금을 투입하고 산업계로 부터 추가 투자와 협력을

요청할 계획

 

 

 

 

 

 

 

 

 

 

---------------------------------------------------------------------------------------------------------------------------------------------------------

 

 

 

 

 

 

 

 

 

스탠포드.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3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스마트팜 혁신기술 사업 연구 13도토리 황세영
8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외 글로벌 디지털 테크의 전망 분석과 과거 주요 사건 정리 7도토리 황세영
8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과성 인공지능 기술 개발현황과 전망 5도토리 황세영
8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로봇산업의 현황과 사회 수용 방안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분석과, 정책 지원과 공공안 활용 분석 7도토리 황세영
8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SDV 산업의 기술개발현황과 생태계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초고령사회에서 연령통합사회 전환 방안 및 과제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2 13도토리 황세영
80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1 13도토리 황세영
80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개발 현황과 지적재산권 전략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성안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개발분야, 온실가스 감소 제도 현황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10가지 유망 과학기술정책 전망 및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학술적 성장을 통한 영향의 변화 분석 9도토리 강정훈
80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민간과 군의 레이더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현황 11도토리 강정훈
80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정 산업의 10가지 이슈 3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강정훈
80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글로벌 통계로 확인하는 특허 현황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0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산업의 실태 현황 조사 13도토리 강정훈
802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트럼프 취임에 따른 방산 및 조선 산업의 변화 예측 분석 3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