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91 | |
---|---|---|---|---|---|---|
용량 | 935.89K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35.89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5 |
EU 공동연구센터, 공공 부문의 AI 역량 및 거버넌스에 관한 보고서 발간
£ 공공 부문의 AI 역량과 거버넌스 관행 확립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권고사항 제시
EU 집행위원회 산하의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 JRC)가 2024년 11월 25일 공공부문의
AI 역량 및 거버넌스 관행을 확립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보고서를 발간
∙ 보고서는 학술 문헌 검토와 온라인 전문가 워크숍, AI를 도입한 유럽 공공기관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 부문의
AI 역량과 거버넌스 관행을 파악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권고사항을 제안
(AI 역량) 보고서는 공공 부문에서 AI에 참여하는 개인에게 필요한 속성으로 정의되는 AI 역량에 대하여
△기술 △관리 △정책·법률·윤리의 세 가지 차원 및 △태도 △운영 △리터러시의 세 가지 교차 그룹으로 구성된 프레임워크를 제시
영국 정부, 사이버 안보 위협에 대응한 AI안보연구소 신설 계획 발표
영국 AI안보연구소, 산학관 협력으로 AI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 평가 계획
팻 맥패든(Pat McFadden) 영국 랭커스터 장관*이 2024년 11월 25일 런던에서 열린 NATO 사이버 안보 회의 연설에서
AI안보연구소(Laboratory for AI Security Research, LASR)를 신설한다고 발표
* 영국 내각부에서 특정 부처를 맡지 않는 장관직으로 국가안보와 관련된 업무도 일부 담당
∙ 맥패든 장관은 AI안보연구소의 설립 이유로 기술 발전에 따라 사이버 위협도 진화하면서 영국이 AI 군비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새로운 위협으로부터 영국과 동맹국을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설명
∙ AI안보연구소는 산업계·학계·정부의 최고 전문가를 모아 AI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계획으로,
맥패든 장관에 따르면 AI는 더 나은 사이버 방어 도구를 개발하고 정보기관이 더 유용한 정보를 수집·분석·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기존의 사이버 위협을 증폭시키고 있는 상황
영국 정부는 AI안보연구소에 822만 파운드(한화 약 146억 원)의 초기 자금을 투입하고 산업계로 부터 추가 투자와 협력을
요청할 계획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