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5년 트럼프 취임에 따른 통상정책에 변화 분석 및 전망 예측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74
용량 1.98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5년 트럼프 취임에 따른 통상정책에 변화 분석 및 전망 예측.pdf 1.9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1-1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7 

1. 美 트럼프 2기의 경제안보 정책 전망

 

□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본격 시작된 미국의 경제안보 정책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정밀・심화

 

□ 트럼프 1기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경제를 안보의 핵심요소로 간주, 무역 불균형 해소와 미국 제조업 부흥을

    강조하면서 미-중 무역전쟁을 본격화

 

○ 무역법(Trade Act of 1974) 201조와 301조, 무역확장법(Trade Expansion Act of 1962) 232조에 근거하여 여러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면서 대대적인 보호무역조치 도입

 

○ 중국과의 경제적 디커플링을 추진하며, 기술 유출 방지 및 첨단기술 분야에서의 對중국 견제 강화


- ’18년 美 의회는 중국 기업과 對중국 투자 외국기업을 대상으로 민감 분야에 대한 對美 외국인 투자를 제한하기 위해

   기존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의 권한을 확대하고 심사 대상 범위를 넓힌 ‘외국인투자위험심사현대화법’ (FIRRMA) 도입2)


- ’18년 수출통제와 관련한 일체 권한을 대통령에게 영구적으로 위임하는 ‘수출통제개혁법’(ECRA)이 의회를 통과하며,

    美 행정부가 반도체의 對중국 수출통제를 보다 수월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발판 마련3)

 

○ 다자 협력보다는 양자간 거래를 통해 무역협정을 재협상하며 미국 이익 극대화

 

- 취임 직후 TPP 가입 철회와 파리협약 탈퇴를 선언했으며, WTO에서 미국의 국익이 침해되고 있다고 보고 WTO 탈퇴까지 고려


- ’18년 ‘북미자유협정’(NAFTA) 재협상을 통해 6년마다 협정 이행사항 검토 조항을 포함한 USMCA를 체결했으며,

   당시 對한국 무역적자를 문제 삼아 한-미 FTA 재협상을 요구, ’19년 개정된 협정 발효

 

□ 바이든 행정부는 다자주의와 동맹과의 협력을 강조하며 트럼프 1기 행정부의 일방주의적 접근에서 탈피했으며,

    경제안보를 기술 패권과 공급망 안정화에 초점

 

○ 바이든 행정부는 EU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관세 대신 관세쿼터로 대체하고 그 밖의 232조 관세 조치는 그대로

    유지하며 트럼프 1기의 무역법 201조와 301조, 무역확장법 232조의 관세정책을 큰 틀에서 승계

 

○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추격을 차단하기 위한 수출통제 강화

 

 

 

 

 

 

 

 

 

 

---------------------------------------------------------------------------------------------------------------------------------------------------------

 

 

 

 

 

 

 

 

통상.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6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과 산업 개발 방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05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방향과 행정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05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탄소중립 공정 및 소재 개발 사업 공고 7도토리 이지훈
8057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의료 디지털팩토리 공정 혁신 공고 7도토리 이지훈
805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바이오 핵심기기 개발 및 장비 고도화 기술 개발 공고 5도토리 이지훈
805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디지털 헬스 케어 혁신 기술 조성 공고 7도토리 이지훈
80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전기차 시장의 변화 분석 7도토리 이지훈
80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농업의 미래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8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농식품 가치관계와 위험점 분석 및 대응 전략 13도토리 이지훈
80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의 인공지능 정책 동황과 전망 분석 3도토리 이지훈
805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바이오 국산화를 위한 미생물 생산 기술 개발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첨단 BIO 의약품 제조 효율화 과제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인공근육을 근간으로 한, 근력 증강 및 보조 웨어러블 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7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신약 개발 기술 구축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신경 및 면역계의 상호 제어 기술 개발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뇌혈관장벽 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황세영
8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지역발전지수의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80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방사선 산업 동향과 활용 분야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인공지능 활용 사고의 변화의 현황과 시사점 5도토리 황세영
804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해양기술의 리더 성장 공고 9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