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디지털 첨단기술 전망과 현황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77 | |
---|---|---|---|---|---|---|
용량 | 664.26K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664.26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5 |
■ 미래 예측의 시간별 접근법
● (미래 예측의 시점) 미래로 갈수록 불확실성은 증가하고 정보의 양은 감소하기 때문에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미래를
시간 범위에 따라 나누어 분석
- 단기미래(2년 뒤): 현재 정보에 기반해 비교적 구체적이고 신뢰도 높은 예측 가능
- 중기미래(6년 뒤): 새롭게 등장하는 변화의 영향을 고려하며 가능성과 대안을 설계
- 장기미래(12년 뒤): 높은 불확실성을 전제로 근본적인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탐색적 시나리오 중심 예측
* 단기·중기·장기와 같은 예측 시점이 추세 신호, 부상 신호, 약 신호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각기 다른
개념임. 예를 들어 단기미래에서 명확한 추세 신호가 관측될 수 있는 동시에, 아직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은 약신호가 함께
포착될 수도 있음
● (시간별 접근의 유용성) 시간 범위에 따른 예측은 보다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함
- 단기, 중기, 장기 각각의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이 가능
- 여러 미래 예측 연구에서도 시간별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실행 가능성을 높이는 사례 증가
■ 기술의 구성
● (기술의 정의와 구조) 기술은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 노하우, 스킬, 절차, 도구, 방법 등이 유기적 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 특정 기술 영역에서 큰 틀을 이루는 상위 수준의 기술은 개념기술(Concept Technology)로 분류하고,
개념기술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하위 기술은 구성기술(Component Technology)로 분류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