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중국 물류 로봇산업 동향 및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79 | |
---|---|---|---|---|---|---|
용량 | 3.01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3.0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09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0 |
요 약
중국 물류 로봇산업은 높은 자동화, 효율성, 정확도 수준을 바탕으로 물류 혁신을 이루고 있으며 빠른 기술 발전과 정책 지원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
중국의 물류 로봇산업은 ➊초기(’70~’89) ➋발전 모색(’90~’99) ➌고속발전(’00~’15) ➍스마트 발전(’16~현재)의
4단계로 발전해 왔음
’19년 이후부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3년 168억 위안 규모까지 증가하였고 ’23년 기준 매출량은 전년 동기대비
33.6% 상승하여 15만 3,000대를 기록
물류 로봇 기업 수는 ’19년 3,011개에서 연평균 153.5%씩 성장하여 ’23년에는 3만 9,300개까지 확대
주요 응용 분야로는 ▲제조 ▲자동차 ▲전자상거래 물류 등이 있으며 그중 제조업이 25% 이상 차지 이러한 배경에는
「14차 5개년 현대물류 발전계획」 등 다양한 정책을 바탕으로 한 물류 로봇, 무인 유통 등 스마트 물류 확산과 물류 로봇 기술
개발 정책이 있음
또한 중앙정부와 각 지방정부가 로봇산업 육성 정책을 통해 물류 로봇 시나리오 다각화를 지원
최근 중국 모바일 로봇(AGV・AMR)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면서 물류 로봇시장의 핵심 요소로 부상
중국 물류 로봇기업들은 ▲뛰어난 가성비 ▲강력한 커스터마이징 ▲빠른 기술 업그레이드를 내세워 자국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제고 긱플러스, 퀵트론 등 주요 기업은 전략적 파트너십 및 주주 자원 활용을 통한
해외 판매 채널 역량, 현지 서비스 역량, 해외 표준 인증 획득 등을 기반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성공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