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생성형 인공지능 발달의 영향에 따른, 소프트웨어 개발 채용 현황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108 | |
---|---|---|---|---|---|---|
용량 | 12.08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2.08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07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2 |
I. 배경 및 목적
□ 코로나19 이후 호황기를 누리던 소프트웨어(SW) 개발자 채용시장은 최근 경기침체 및 투자위축 등으로 경직되는 추세임
ㅇ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 전 영역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디지털전환 핵심 기반인 SW 개발자 채용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 특히,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IT업계에 대한 투자 활성화 및 관련 사업이 확장되면서 동 업계는
대규모의 SW 개발자를 채용한 바 있음
* 채용 중개 플랫폼인 원티드의 IT직군 채용공고 증가 추이: (’21년 2월) 약 3,100건
→ (’21년 12월) 약 7,000건 → (’23년 3월) 8,000건 돌파(원티드랩, 2024)
** 네이버와 카카오 또한 코로나19를 거치며 전체 인력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40% 증가(한경매거진, 2024.01.23.)
당시 SW 개발자 수요 급증 대비 적정 인력 공급 부족으로, 인력 수요-공급 간 미스매치가 발생함에 따라 SW 개발자 임금 및 처우가
크게 향상되기도 하였음
* 기업 채용수요가 가장 높은 6~8년차 개발자 연봉은 ’20년부터 3년간 연평균 10.22% 상승하였으며(이데일리, 2023.08.03.),
기업들은 개발자 채용 시 재택근무 및 자율출퇴근제 근무 등의 조건을 제시하기도 함(한경, 2022.07.31.)
ㅇ 전 사회적으로 발생하는 SW 개발자 수요 폭증 및 공급 부족 문제에 대응하고자, 정부 또한 SW 개발자 등 디지털 전문인력
양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음, 급증하는 디지털 인력에 대한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고자, SW 개발자 양성에 초점을 맞춘
정부 대책*이 발표되었으며, 2022년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국정과제로 발표하고 추진함
* SW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춘 「민·관 협력 기반의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대책」
(’21.06.), 디지털 신기술 전반을 아우르는 디지털 인력양성 대책인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22.08.) 등이 있음
ㅇ 한편, 2022년 하반기부터 금리 인상 기조와 함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기업 투자가 위축되기 시작하면서
SW 개발자 채용시장은 경직되기 시작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