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생성형 인공지능 발달의 영향에 따른, 소프트웨어 개발 채용 현황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08
용량 12.0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생성형 인공지능 발달의 영향에 따른, 소프트웨어 개발 채용 현황 분석.pdf 12.0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1-0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2 

I. 배경 및 목적


□ 코로나19 이후 호황기를 누리던 소프트웨어(SW) 개발자 채용시장은 최근 경기침체 및 투자위축 등으로 경직되는 추세임

 

ㅇ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 전 영역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디지털전환 핵심 기반인 SW 개발자 채용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 특히,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IT업계에 대한 투자 활성화 및 관련 사업이 확장되면서 동 업계는

    대규모의 SW 개발자를 채용한 바 있음

 

* 채용 중개 플랫폼인 원티드의 IT직군 채용공고 증가 추이: (’21년 2월) 약 3,100건

 

→ (’21년 12월) 약 7,000건 → (’23년 3월) 8,000건 돌파(원티드랩, 2024)

 

** 네이버와 카카오 또한 코로나19를 거치며 전체 인력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40% 증가(한경매거진, 2024.01.23.)

 

당시 SW 개발자 수요 급증 대비 적정 인력 공급 부족으로, 인력 수요-공급 간 미스매치가 발생함에 따라 SW 개발자 임금 및 처우가

크게 향상되기도 하였음

 

* 기업 채용수요가 가장 높은 6~8년차 개발자 연봉은 ’20년부터 3년간 연평균 10.22% 상승하였으며(이데일리, 2023.08.03.),

   기업들은 개발자 채용 시 재택근무 및 자율출퇴근제 근무 등의 조건을 제시하기도 함(한경, 2022.07.31.)

 

ㅇ 전 사회적으로 발생하는 SW 개발자 수요 폭증 및 공급 부족 문제에 대응하고자, 정부 또한 SW 개발자 등 디지털 전문인력

    양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음, 급증하는 디지털 인력에 대한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고자, SW 개발자 양성에 초점을 맞춘

    정부 대책*이 발표되었으며, 2022년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국정과제로 발표하고 추진함

 

* SW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춘 「민·관 협력 기반의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대책」

 

(’21.06.), 디지털 신기술 전반을 아우르는 디지털 인력양성 대책인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22.08.) 등이 있음

 

ㅇ 한편, 2022년 하반기부터 금리 인상 기조와 함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기업 투자가 위축되기 시작하면서

    SW 개발자 채용시장은 경직되기 시작함

 

 

 

 

 

 

 

 

 

 

 

 

---------------------------------------------------------------------------------------------------------------------------------------------------------

 

 

 

 

 

 

 

 

투자.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6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과 산업 개발 방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05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방향과 행정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05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탄소중립 공정 및 소재 개발 사업 공고 7도토리 이지훈
8057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의료 디지털팩토리 공정 혁신 공고 7도토리 이지훈
805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바이오 핵심기기 개발 및 장비 고도화 기술 개발 공고 5도토리 이지훈
805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디지털 헬스 케어 혁신 기술 조성 공고 7도토리 이지훈
80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전기차 시장의 변화 분석 7도토리 이지훈
80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농업의 미래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8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농식품 가치관계와 위험점 분석 및 대응 전략 13도토리 이지훈
80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의 인공지능 정책 동황과 전망 분석 3도토리 이지훈
805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바이오 국산화를 위한 미생물 생산 기술 개발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첨단 BIO 의약품 제조 효율화 과제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인공근육을 근간으로 한, 근력 증강 및 보조 웨어러블 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7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신약 개발 기술 구축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신경 및 면역계의 상호 제어 기술 개발 공고 3도토리 이지훈
804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뇌혈관장벽 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황세영
8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지역발전지수의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80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방사선 산업 동향과 활용 분야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인공지능 활용 사고의 변화의 현황과 시사점 5도토리 황세영
804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해양기술의 리더 성장 공고 9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