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북한, 금융시장의 현황과 전망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87
용량 5.68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북한, 금융시장의 현황과 전망 분석.pdf 5.6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2-3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58 

Ⅰ. 북한금융 기관 현황


1. 조선중앙은행

 

조선중앙은행은 지금까지의 단일은행제도(mono-banking system) 하에서 (중앙은행권)발권, 통화조절(화폐류통조직), 채권발행,
기준이자율 제정, 국고금 ․ 고정재산 ․ 귀금속 관리, 지급 결제와 금융사업에 대한 지도통제, 대부, 저금, 현금 등 북한 원화와 관련해 중앙
은행과 상업은행 역할을 모두 수행하던 패턴에서 상업은행 역할을 분리하는 변화를 겪었다.

 

기업금융(corporate banking)과 주민 대상 금융(private banking)의 기능도 상당 부분 상업은행들로 이관하였다.

즉, 중앙은행이 조직적, 기능적으로 분리된 것이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본연의 발권, 통화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예금과 대부 업무
는 상업은행이 맡게 되었다.

 

중앙은행의 소재지는 평양시이다. 총재와 약간 명의 부총재들이있다. 현재 총재직은 백민광이 맡고 있다.

2023년 9월 27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9차 회의에서 채성학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2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9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당연직)에 보선되었다.

후보위원까지 노동당 중앙위원회 집행부 성원이며 ‘727’ 앞번호가 달린 총비서 김정은의 선물차가 차례진다.

 

2. 상업은행


북한에서 상업은행이라는 개념은 2006년 1월 2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1529호로 채택된 상업은행법2)으로 공식화,

알려지게 되었다. 법의 제1장 상업은행법의 기본 제1조(상업은행법의 사명)에서 상업은행(의 정의)은 “예금, 대부, 결재 같은 업무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이다.

 

 

 

 

 

 

 

 

 

---------------------------------------------------------------------------------------------------------------------------------------------------------

 

 

 

 

 

 

 

 

 

경제제제.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업의 동향 및 전망 13도토리 황세영
803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스마트팜 혁신기술 사업 연구 13도토리 황세영
8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외 글로벌 디지털 테크의 전망 분석과 과거 주요 사건 정리 7도토리 황세영
8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과성 인공지능 기술 개발현황과 전망 5도토리 황세영
8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로봇산업의 현황과 사회 수용 방안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분석과, 정책 지원과 공공안 활용 분석 7도토리 황세영
8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SDV 산업의 기술개발현황과 생태계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초고령사회에서 연령통합사회 전환 방안 및 과제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2 13도토리 황세영
80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1 13도토리 황세영
80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개발 현황과 지적재산권 전략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성안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개발분야, 온실가스 감소 제도 현황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10가지 유망 과학기술정책 전망 및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학술적 성장을 통한 영향의 변화 분석 9도토리 강정훈
80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민간과 군의 레이더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현황 11도토리 강정훈
80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정 산업의 10가지 이슈 3도토리 강정훈
80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강정훈
80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글로벌 통계로 확인하는 특허 현황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0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산업의 실태 현황 조사 13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