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미디어 방송산업의 24년 결과 및 25년 전망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91
용량 8.94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미디어 방송산업의 24년 결과 및 25년 전망 분석.pdf 8.9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2-3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12 

전환과 위기를 맞이한 미디어 생태계 그리고 유료방송 30주년

 

대체로 예상은 했지만 <2023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2022년 대비 2023년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9,403억 원 감소했다(방송통신위원회, 2024a). 주요 원인은 방송광고 감소였다.

2022년 30,830억 원이었던 방송광고 매출은 2023년에 24,983억 원으로 감소하여 1년 사이에 5,847억 원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유료방송 관련 지표는 방송광고 시장의 악화와 비교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수준은 아니었다. IPTV의 방송사업매출은 소폭이나마 상승했다. 하지만 케이블TV SO와 위성방송의 방송사업매출은 감소했다(방송통신위원회, 2024a).

 

상징적인 지표는 2023년 하반기에 2023년 상반기와 비교할 때 가입자가 감소했다는것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 5. 16).1)

 

유료방송 시장의 가입자 감소는 그 폭이 크지 않지만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뒤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지만 국내 유료방송 시장은 국내 미디어·문화 산업 전반과 긴밀하게 연관된 산업 분야이기 때문에 앞으로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유료방송 시장의 규모 축소는

다른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은 1995년 케이블 TV SO의 도입으로 시작된 국내 유료방송이 30주년을 맞는 해이다. 본고에서는 한 해를 결산하는 시점에 국내 유료방송 30주년이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전체 미디어 산업 생태계를 고려AAAAAA할 때 바람직한 유료방송 시장의 지속 성장 방향과 그를 위해 필요한 정책 과제에 대해 제언해 보고자 한다.

 

 

대한민국 미디어·콘텐츠 산업에서 유료방송이 갖는 의미

 

국내 미디어·콘텐츠 분야는 K-POP, K-콘텐츠의 글로벌한 위상이 높아지면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하지만 레거시 방송 매체들은 성숙기에 진입했고, 영화 산업은 코로나 이후 위축된 극장 시장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시장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다. 국내 미디어 산업이 갖는 특수성 중 하나는 방송, 영화, 음악 등이 상호 간 시너지를 창출하며 함께 성장해 왔다는 것이다.

 

 

 

 

 

 

 

 

 

 

---------------------------------------------------------------------------------------------------------------------------------------------------------

 

 

 

 

 

 

 

 

 

 

티비.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업의 동향 및 전망 13도토리 황세영
803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스마트팜 혁신기술 사업 연구 13도토리 황세영
8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외 글로벌 디지털 테크의 전망 분석과 과거 주요 사건 정리 7도토리 황세영
8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과성 인공지능 기술 개발현황과 전망 5도토리 황세영
8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로봇산업의 현황과 사회 수용 방안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분석과, 정책 지원과 공공안 활용 분석 7도토리 황세영
8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SDV 산업의 기술개발현황과 생태계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초고령사회에서 연령통합사회 전환 방안 및 과제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2 13도토리 황세영
80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1 13도토리 황세영
80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개발 현황과 지적재산권 전략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성안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개발분야, 온실가스 감소 제도 현황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10가지 유망 과학기술정책 전망 및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학술적 성장을 통한 영향의 변화 분석 9도토리 강정훈
80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민간과 군의 레이더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현황 11도토리 강정훈
80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정 산업의 10가지 이슈 3도토리 강정훈
80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강정훈
80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글로벌 통계로 확인하는 특허 현황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0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산업의 실태 현황 조사 13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