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협업 및 플랫폼 현황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79
용량 6.58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협업 및 플랫폼 현황 분석.pdf 6.5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2-3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6 

1.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와 디지털 전환

 

● (디지털 트윈) 현실세계를 3D 모델로 가상화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시각화하여 실시간 자동 관제 및 시뮬레이션 기반

     분석·예측·최적화를 구현하는 융합 기술(IRS Global, 2024)


- 디지털 트윈은 요소 기술이 아닌 다양한 지능정보 기술이 융합된 서비스 플랫폼

 

●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진정한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와 실세계를 모델링한 디지털 트윈, 그리고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가상세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함

 

- 디지털 트윈은 시뮬레이션을 넘어 지능이 적용된 자율 트윈으로 진화하고 이렇게 진화된 수많은 자율 트윈들이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그룹을 생성하여 그룹 간의 협력을 통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됨
 

메타버스 생태계 확장의 장벽


● (디바이스의 한계) VR(Virtual Reality)/AR(Augmented Reality) HMD의 디스플레이와 시야각, 컴퓨팅 파워가 실-가상을

    오가는 메타버스를 지원하기에는 부족함

 

- MS 홀로렌즈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시야각, 공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바디 트랙킹 등에서 메타버스의 실-가상 상호작용을

  지원하기는 부족함

 

- 고성능의 애플 비전 프로조차 공간 및 객체 인식과 공간 상호작용 등 필수적인 요소 기술을 탑재하지 않음.

   가격 또한 고가로 책정되어 생태계 확장을 위해 필수적인 기기 보급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

 

● (관련 기술의 낮은 성숙도) 실-가상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시·청·촉각의 다감각을 위한 요소 기술들의 고도화가 필요하나

    현재 기술은 아직 실-가상 상호작용을 지원하기에는 기술 성숙도가 낮음

 

● (콘텐츠의 한계) 디바이스와 관련 기술의 한계로 인해 관련 콘텐츠 시장은 실질적인 교육·산업·의료 분야 등 실감 원격 협업이

     필요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게임이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점유율이 높은 채로 머물러 있음

 

 

 

 

 

 

 

 

---------------------------------------------------------------------------------------------------------------------------------------------------------

 

 

 

 

 

 

 

 

국내.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업의 동향 및 전망 13도토리 황세영
803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스마트팜 혁신기술 사업 연구 13도토리 황세영
8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외 글로벌 디지털 테크의 전망 분석과 과거 주요 사건 정리 7도토리 황세영
8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과성 인공지능 기술 개발현황과 전망 5도토리 황세영
8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로봇산업의 현황과 사회 수용 방안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분석과, 정책 지원과 공공안 활용 분석 7도토리 황세영
8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SDV 산업의 기술개발현황과 생태계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초고령사회에서 연령통합사회 전환 방안 및 과제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2 13도토리 황세영
80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1 13도토리 황세영
80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개발 현황과 지적재산권 전략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성안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개발분야, 온실가스 감소 제도 현황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10가지 유망 과학기술정책 전망 및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학술적 성장을 통한 영향의 변화 분석 9도토리 강정훈
80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민간과 군의 레이더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현황 11도토리 강정훈
80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정 산업의 10가지 이슈 3도토리 강정훈
80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강정훈
80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글로벌 통계로 확인하는 특허 현황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0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산업의 실태 현황 조사 13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