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데이터 사회에서의 불평등 사례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70
용량 774.6K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데이터 사회에서의 불평등 사례 분석.pdf 774.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2-3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86 

I. 서론


4차 산업 혁명에 이은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은 2020년 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비대면을 위시한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여타 기술 패러다임과 같이 민간 비즈니스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디지털 전환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모바일,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효율성‧대응성을 향상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시키는 조직으로 변모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Fitzgerald, et al., 2014; Frankiewicz&Chamorro-Premuzic, 2020; Ismail, et al.,2017; Vial, 2019)

 

디지털 전환은 기존의 신기술 도입 개념과는 차별화되는 것은 디지털화를 통한 조직의 체질 개선을 수반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디지털 전환의 영향이 보다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를 초래함을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요소로 D.N.A.(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가 제시되고 있는데,
디지털 기술 활용에 필수재인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Joint Ministries, 2020).

Frankiewicz and Chamorro-Premuzic(2020)은 디지털 전환은 단지 디지털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특히 데이터 활용 역량을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였다.

 

대표적인 디지털 기술인 인공지능도 결국 가치 있는 데이터를 통해 유의미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언급하였다.

데이터의 활용은 민간 비즈니스 차원만이 아닌 공공부문의 정책 및 공공서비스에서도 최근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이 증거 기반 행정(Evidence-based Public Administration)에서 발전한 데이터 기반 행정에 대한 개념이다.

OECD는 데이터 기반 행정(Data Driven Public Sector)을 공공부문의 정책, 서비스 설계 및 전달에 있어 데이터를 전략 자산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수요자의 요구 충족과 예측, 더 나은 서비스와 정책 전달, 공공 전반의 데이터 통합‧접근‧공유‧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데이터 거버넌스 구조, 데이터 전달 관련 기제

 

Ⅱ. 이론적 배경


1. 데이터 기반 사회의 출현


데이터(Data)는 특정한 행동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활용되는 숫자, 글자, 그림, 기타 기록들의 구성을 의미한다.

데이터는 해석이 이루어질 때 의미가 부여되고, 정보(Information)로 인정된다(Richmond, 2006).

데이터 기반 사회의 출현은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전방위적 확산에 따른 방대한 데이터의 도출과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데이터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다.

 

데이터 기술은 개인, 그룹 등 사회 전반에 대한 추적, 예측, 통제 등을 가능케 하였고, 이에 따른 효율성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중심으로 혹은 데이터에 의존하는 데이터 기반 사회가 등장하였다

 

 

 

 

 

 

 

 

 

---------------------------------------------------------------------------------------------------------------------------------------------------------

 

 

 

 

 

 

 

 

 

 

제목 없음.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업의 동향 및 전망 13도토리 황세영
803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스마트팜 혁신기술 사업 연구 13도토리 황세영
8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외 글로벌 디지털 테크의 전망 분석과 과거 주요 사건 정리 7도토리 황세영
8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과성 인공지능 기술 개발현황과 전망 5도토리 황세영
8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로봇산업의 현황과 사회 수용 방안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분석과, 정책 지원과 공공안 활용 분석 7도토리 황세영
8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SDV 산업의 기술개발현황과 생태계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초고령사회에서 연령통합사회 전환 방안 및 과제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2 13도토리 황세영
80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1 13도토리 황세영
80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개발 현황과 지적재산권 전략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성안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0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개발분야, 온실가스 감소 제도 현황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0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10가지 유망 과학기술정책 전망 및 분석 9도토리 황세영
80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학술적 성장을 통한 영향의 변화 분석 9도토리 강정훈
80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민간과 군의 레이더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현황 11도토리 강정훈
80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정 산업의 10가지 이슈 3도토리 강정훈
80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AI 산업의 최신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강정훈
80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글로벌 통계로 확인하는 특허 현황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0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산업의 실태 현황 조사 13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