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4년 국내외 태양에너지 산업의 공급현황과 시장 전망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52 | |
---|---|---|---|---|---|---|
용량 | 745.63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745.63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12-26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7 |
I. 글로벌 태양광산업 동향
1.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 동향
(현황) 2024년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은 Big 2(중국 및 미국) 시장의 큰 폭의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34.9% 증가한 599GW
Ÿ 태양광 설치비용과 태양광 수요는 반비례 관계에 있으며, 태양광 설비 비용 하락은 태양광 프로젝트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설치비용이 하락할수록 태양광 수요는 비례해 증가
Ÿ 2024년 글로벌 태양광 수요증가는 제품가격 하락이 이끌고 있으며, 특히 최대 수요지인 중국 및 미국 태양광 수요가 급증
‑ 중국 설치량은 2022년 106GW, 2023년 240GW, 2024년 310GW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미국도 IRA 시행 및 가정용 태양광 수요가 증가하면서 2023년 37GW, 2024년 45GW 예상
Ÿ 태양광 설치비용이 하락하면서 가정용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이 향상되고 있으며, 전력망을 통한 전기 공급이 어려운 개도국을
중심으로 소규모 태양광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2024년 파키스탄 태양광 설치량은 전년 대비 322% 증가한 13GW, 우즈베키스탄도 전년 대비 756% 증가한 3.5GW에
달할 것으로 예상
(전망) 2025년 글로벌 태양광 시장은 650GW가 설치돼, 사상 처음으로 600GW 시대가 열릴 것 예상
Ÿ 2025년 글로벌 태양광 수요는 600GW를 넘어설 것으로 되나, 성장률은 8.5%로 전년 대비 낮아질 전망
‑ 중국 330GW, 미국 50GW가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며, 독일 16GW 등 주요국 수요는 양호
Ÿ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글로벌 태양광 수요는 매년 41%씩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으나, 2025년 이후 증가율은 10%
미만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
Ÿ 태양광 설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럽을 중심으로 전력망 이슈가 발생하고 있으며, 2025년 이후 글로벌 태양광 수요를
이끌었던 미국 수요도 포화
‑ 미국 및 유럽은 전력망 및 태양광 발전의 간헐성 문제로 재생에너지를 수용하는데 한계에 직면하고 있으며,
수요를 더 늘리기 위해선 에너지저장 등 기술적 이슈를 해결해야 함
Ÿ 2024년 하반기 이후 글로벌 금리인하 싸이클 진입은 따라 태양광 프로젝트 건설에 필요한 자금조달 비용이 낮아져
태양광 수요증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금리인상에 따른 태양광 자본조달 비용 상승은 태양광 프로젝트 수익률에 악영향을 미쳤으나,
글로벌 금리인상 싸이클이 마무리됨에 따라 2025년 태양광 프로젝트 건설을 위한 자본조달 비용도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