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국내외 지식재산 ODA 사업 유형 및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40 | |
---|---|---|---|---|---|---|
용량 | 2.49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4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12-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15 |
Ⅰ. 지식재산 ODA 정의
1. 지식재산과 ODA
ㅇ세계 주요국가들은 기술 개발을 통한 지식재산권 확보가 국가의 경쟁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면서 자국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한 국제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이러한 노력은 양자간 협력 뿐만 아니라 다자간 협력 체계을 통한 지식재산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ㅇ 우리나라는 지식재산 선진국(IP5)으로서 전세계의 지식재산 분야를 선도하는 입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지식재산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있고, 국가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이를 더욱 확대 할 필요성이 있음
ㅇ 또한 최근 전세계 국가들의 기술패권이 강화되면서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경제안보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지식재산권이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 개도국과 선진국의 지식재산 격차(Disparity)는 더욱 커지고 있음
2. 지식재산 ODA 개념
1) ODA 개념
ㅇ ODA란 공적개발원조, 즉 국가⋅지자체⋅공공기관이 OECD에서 지정한 수원국 (受援國)의 경제발전⋅복지증진을 위해
개도국 및 국제기구 등이 제공하는 각종 공여를 의미
- 국내법상 ODA의 정의는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제2조에‘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발전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협력대상국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무상 또는 유상의 개발협력’이라고 규정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