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국내 스마트시티 동향과 기술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46 | |
---|---|---|---|---|---|---|
용량 | 1.1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12-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5 |
01 스마트시티의 등장 배경
수도권 과밀화
o 서울 및 수도권에 인구 과밀, 이외 도시들은 인구소멸 문제로 지역간 불균형
- 서울의 인구밀도1)는 1970년부터 매년 상승하여 1983년 15,000명/km2을 넘긴 이후,
타 지역과의 격차를 좁히고 있지 못한 실정
· ’23년 서울 인구밀도는 15,533명/km2으로 수도권 대비 14.2배 높은 수준
· 서울·인천·경기를 포함한 수도권 인구밀도는 2,206명/km2으로 전년 대비 9명/km2 증가, ’13년 대비 12명/km2 증가하여
수도권 인구 집중 심화
※ 2023년 수도권 인구는 전국 인구 50.6%에 해당하는 2,619만 명
- 반대로, 농촌지역 및 중소도시에서는 인구부족으로 인한 도시관리의 한계와 의료·교육·복지·문화시설 등 도시환경 요소에 대한
불균형이 커지는 실정
· 국내 인구감소지역2)은 총 89곳이며, 전남(16), 경북(15), 강원(12) 순으로 많은 인구감소 시군구 지정
저출생 및 고령화
o 국내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대비한 도시 기반 조성의 중요성 확대
- ’23년 기준 국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전 세계 최하위 수준이며 매년 출산율이 감소하는 추세
- ’20년 이후 국내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앞지르며 국가 총인구 감소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5년에는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3)로 진입할 것이 예상
- 국내 고령인구 비율은 19.2%이며, 특히 인구감소지역이 다수 포진한 전남 (26.1%), 경북(24.7%), 강원(24.0%)의
고령인구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
- 이러한 현상은 수도권 포화 문제와 함께 지역 간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