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중동지역 주요국가들의 석유 산업 현황과 잠재력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46
용량 955.52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중동지역 주요국가들의 석유 산업 현황과 잠재력 분석.pdf 955.5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2-2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6 

Ⅰ. 중동 지역의 석유 산업 동향


Ÿ 중동 지역은 전 세계 석유 매장량의 48%, 생산량의 32%, 수출량의 34%를 점유하며, 사우디, 이란, 이라크, UAE 4개국은

   중동 지역 전체 석유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함.

 

Ÿ 중동 주요 산유국들은 원유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수출함에 따라(사우디는 60%, UAE는 70%를 각각 수출)

   국제 에너지 시장에 화석 연료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Ÿ 향후 중동 지역의 석유 생산량은 증대될 전망으로, 10년간 예상 증가분(513만 b/d)의 약 61%를 GCC 국가들(312만 b/d)이

   차지하며 국가별로는 UAE, 이라크, 이란, 사우디 순으로 전망됨.

 

Ⅱ. 중동 주요국의 석유 산업 동향 및 개발 잠재력

 

1. 사우디


Ÿ 사우디는 세계 2위 석유 매장량 보유국이자 세계 3위의 산유국으로, 중동 지역 총 석유 소비량의 약 40%를 소비함에도

   소비량 대비 높은 석유 생산량에 힘입어 생산된 석유의 상당 부분을 수출함.

 

Ÿ 국영 석유기업 Aramco는 사우디 석유·천연가스 탐사의 독점적 권리를 보유하며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다운스트림 부문을

   통합하여 운영 중으로, 130개 이상의 유전을 소유하며 사우디 전체 정제능력의 절반을 단독 소유함.


2. 이라크

 

Ÿ 세계 5위 석유 매장량 보유국이자 세계 6위 산유국으로, 개발된 유전의 대부분은 이슬람국가(IS) 잔당 등의 테러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북부 지역은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 잠재력이 높으나

   IS 잔당의 테러 문제로 인해 탐사에 한계가 있음.

 

Ÿ 2023년 튀르키예의 ITP 송유관 가동 중단으로 이라크는 전 세계 석유 공급량의 0.5%에 해당하는 약 45만 b/d의 원유 수출의

   차질이 발생하였고 현재까지도 양국의 원유 거래는 중단된 상황임.

 

Ÿ 2027년까지 석유생산능력을 800만 b/d로 확대한다는 목표로 남부 이라크의 유전에서 여러 업스트림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나, 정치적 갈등, 규제 문제, 남부 수출 인프라의 복원 및 확장 지연, 불확실한 투자환경 등으로 인해 지연될 가능성이 다분함.

 

  이에 따라 2026년 OPEC+의 감산 완화 조치 시행에도 정부가 목표수준을 달성할 수 있을지는 의문임.
 

 

 

 

 

 

 

 

 

 

---------------------------------------------------------------------------------------------------------------------------------------------------------

 

 

 

 

 

 

 

 

 

 

중동.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외 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이슈 분석 9도토리 국준아
80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전자정부 이용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0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변화에 따른 농업 구조 전환의 방향 및 정책 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0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첨단산업의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
80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산업기술의 현황과 동향 분석 7도토리 국준아
8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소비자협회 무역박람회의 산업 기술 트렌드 현황 11도토리 국준아
80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디지털 전환 사회에서의 기업 글로벌 확대방안 7도토리 정한솔
80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쟁구조를 통한 중국 시장 진출 전략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0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감정 감지 기술의 현황과 전망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0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스마트 수송 산업의 현황과 전망점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0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노벨상 수상자를 통해 확인하는 인공지능 산업의 현황 분석 7도토리 정한솔
80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실생활 및 산업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현황과 영향력 7도토리 정한솔
80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관세 및 행정 정책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0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글로벌 주요국들의 로봇 산업 및 정책 동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0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글로벌 주력산업의 미래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0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휴머노이드 생산을 위한 재료 공급현황 및 규모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0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디지털크리에이터 산업의 현황 분석 13도토리 정한솔
80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중국, 주요 경제 법령의 변화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0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 트럼프 취임을 통한 미국 인프라의 변화와 시사점 3도토리 정한솔
80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 소비자 무역박람회를 통한 SW 혁신의 변화 3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