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제약 - 제약/바이오 Weekly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15
용량 559.2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제약바이오 Weekly.pdf 559.2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3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제약/바이오 주간 코멘트 - 주간 제약/바이오 섹터는 시장지수[코스피(-6.0%), 코스닥(-7.4%)]대비 대형주 위주로 변동성 확대[코스피 의약품(-8.3%), 코스닥 제약(-5.4%)]. 오스템임플란트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여부 결정이 2월 중순으로 연기돼 불확실성이 지속 - 국내 코로나 확진자 확산세 언급 후 오미크론이 주종으로 바뀌면서 방역 및 검사체계 변경. 분자진단에서 신속항원 자가검사 중심으로 변경되며 SD바이오센서, 휴마시스 등의 업체 부각 국내 주요 뉴스 및 공시 - 오스템임플란트 지분 10% 보유…라자드자산운용, 털고 나가나 https://bit.ly/3KLNgJ5 글로벌 자산운용사 '라자드'가 국내에서 오스템임플란트 보유지분(10%) 매입 의사 타진. 40% 할인된 가격 제시한 것으로 알려짐 - 작년 세계 디지털헬스 펀딩 급등 https://bit.ly/33PfodB 작년 글로벌 디지털 헬스 펀딩 건수과 규모 각각 16%, 79% 증가한 2,930건, 572억 달러. 원격의료 펀딩이 176억 원으로 성장률 최대 - 코로나19 진단시약, 총 74개 품목 '정식 허가'https://bit.ly/3nWErSS PCR 33개, 항원 25개, 항체 16개 품목 허가받은것으로 파악. 에스디바이오센서가 PCR 2개, 항원검사 3개, 항체검사 2개로 가장 많음 - 론자, '이중항체' 발굴∙설계 플랫폼 ‘bYlok™’ 출시 https://bit.ly/3GZEtRf bYlok™’ 플랫폼은 95% 이상의 정확도와 수율 그리고 하나의 세포주를 이용한 단순화된 제조과정이 장점 - 치매환자 매년 갱신…해결방안은 디지털 치료제?https://bit.ly/3tYNgzk 디지털 치료제가 치매 치료의 대안으로 부각됨에 따라 임상적으로 안전성 및 유효성을 입증하는 객관적 근거 축적이 중요해질 것 - '티쎈트릭', 약평위 통과로 기대감 상승‥간암 1차 치료 변화 https://bit.ly/3oi45BR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요법이 약평위 통과. 3개월 내 급여권에 진입여부 확정. 국외는 1차 치료환경을 고려해 이미 보험적용 완료 - "디지털 의료기기 기술력, 글로벌 '맞불'…수가 고민 커질 것"https://bit.ly/35fsAbX 디지털치료제(DTx) 8건이 확증임상중이기에 연내 한국 최초 식약처 인허가 DTx가 나올 것으로 예측. 이에 정부의 수가고민도 깊어질 것 - “새로운 코로나 치료제 도입 계획 없다” https://bit.ly/3u5fyrU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대응을 위해 치료제 추가 구매는 검토하지 않고있으며, 팍스로비드 등 기존 치료제 중심 투약 집중 예정 - 클래시스, 최대주주 베인캐피탈에 경영권 지분 매각 https://bit.ly/3o1HI3s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유지분 61% 글로벌 PEF 베인캐피탈에 매각. 매각 후 잔여지분 13%은 계속 보유해 우호 주주로 남아있을 예정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보툴렉스(Botulax, 수출명 Letybo) 50유닛의 유럽 품목허가 승인권고 획득)(휴젤)https://bit.ly/3Hj8agB 유럽 11개국에서 보툴렉스 승인권고를 획득. 유럽 파트너사는 미국도 함께 담당하고 있는 Croma-Pharma. 2분기 내 최종승인 예상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휴마시스)https://bit.ly/3r0Hco0 셀트리온의 미국향 항원진단키트 공급용으로 1,366억 규모 코로나19항원진단 홈키트 공급계약 체결. 작년 매출 대비 약 300% 수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480 성장동력산업 LG유플러스 긍정적인 배당 정책 1도토리 조정희
1479 성장동력산업 현대위아 [4Q21 Review] 당황스러운 적자. 다만 일회성 악재가 많았다 1도토리 조정희
1478 성장동력산업 항공, 방위산업 Weekly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제약 - 제약/바이오 Weekly 1도토리 조정희
1476 성장동력산업 12월 은행 금리: 무원가 조달의 힘 1도토리 조정희
1475 성장동력산업 한국이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3도토리 조정희
1474 성장동력산업 LG생활건강 우려했지만 후(2.9조원) 포지셔닝은 재확인 1도토리 조정희
1473 성장동력산업 LG전자 파종의 계절 1도토리 조정희
1472 성장동력산업 삼성전자 4Q21반도체 부진, 1Q22모바일 화창 1도토리 조정희
1471 성장동력산업 인선이엔티 매립 사업 경쟁 강도 완화 여부가 관건 1도토리 조정희
1470 성장동력산업 LG전자 여전히 VS 는 동사의 미래 1도토리 조정희
1469 성장동력산업 NAVER 수익성 개선 지연에도 성장성은 확인 1도토리 조정희
1468 성장동력산업 SBS 스튜디오 S 의 성장에 모일 시선 1도토리 조정희
1467 성장동력산업 삼성에스디에스 물류부문 성장성과 수익성 개선 기대 1도토리 조정희
1466 성장동력산업 제일기획 탑라인 성장에 비친 자신감 1도토리 조정희
1465 성장동력산업 삼성SDI 2022년 수확의 시기 1도토리 조정희
1464 성장동력산업 한미약품 2021 년 4분기에는 북경한미의 이익성장세가 돋보인다 1도토리 조정희
1463 성장동력산업 LG전자 상반기 프리미엄 가전, 하반기 VS가 성장을 견인 1도토리 조정희
1462 성장동력산업 삼성전자 2022년 최대 실적 예상 1도토리 조정희
1461 성장동력산업 DL이앤씨 양호한 실적 , 매출 반등을 위한 준비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