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12월 은행 금리: 무원가 조달의 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8
용량 710.5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12월 은행 금리 무원가 조달의 힘.pdf 710.5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3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예금은행 12월 잔액 NIS 2.21% (+2bp MoM, +16bp YTD)  은행업종 예대금리차(NIS)는 12월 말 2.21%로 전월 대비 +2bp, 전년 말 대비 +16bp 기록 12월 중 신규 취급액 금리  수신금리: 1.70% (+13bp MoM) 12월 국채 1년물 평균 금리는 3bp MoM 하락했지만, 1년 정기예금 금리는 1.80%로 6bp MoM 상승. 정기예금 금리 의 premium(국채 대비)은 지난 8월을 저점으로 다시 확대되는 중 (1Y Premium: 8월 15bp  9월 25bp  10월 27bp  11월 39bp  12월 48bp)  대출금리: 3.25% (+2bp MoM) 중소기업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의 가파른 금리 상승이 관찰됨. 은행들의 주요 성장 축이 된 중소기업대출 금리는 +7bp MoM이며, 하반기 동안 52bp 상승을 기록. 가계대출 금리는 +5bp MoM인데, 주택담보대출이 12bp MoM 상승한 것 이 주 원인. 신용대출 금리는 4bp MoM 하락했으나 지난 9월 이후 고신용자 대출이 사실상 중단되고 중금리대출 취급 이 급증했기 때문에 데이터에 연속성은 없음 12월 말 전체 잔액 금리  수신금리: 0.83% (+6bp MoM) 시장성 조달 +7bp MoM, 저축성 예금 +13bp MoM에도 불구하고, 저원가성 예금이 전체 조달비용률을 억제하면서 총수신금리는 6bp MoM 상승에 그침 (12월 말잔 정기예금 +4.3조원 MoM, 저원가성 +24.5조원 MoM). 연간으로는 비용성 조 달(시장+저축) 금리가 12bp 상승했는데, 저원가성 예금을 포함하면 8bp 상승에 그침  대출금리: 3.04% (+8bp MoM) 8월 들어 30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잔액 대출금리의 상승폭을 매월 확대되고 있음.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금리가 공히 연간 24bp 상승 시사점: 무원가 조달의 힘  2021년 말잔 기준으로, 은행업종의 정기예금 금리는 21bp YTD 상승해 가계 및 기업대출 금리와 유사한 상승폭을 보 임. 다만 시장성 조달 금리는 3bp 상승에 그쳤고, 금리 상승기임에도 불구하고 요구불 및 수시입출식 등의 저원가성 예 금이 견조하게 증가하면서 연간 예대금리차는 16bp 확대됨. 즉, 조달 포트폴리오 개선의 공이 크다는 판단  금리 상승과 자산시장의 초과수익률 하락에 의해 2022년에는 전년 대비 대출수요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 그럼에도 기본금리 상승과 수요보다 더 억제된 공급 기조에 따라 높은 대출금리는 유지될 전망  결과적으로 2022년 대출성장률은 mid-single 수준으로 하락할 전망이나, 이미 평잔이 크게 증가한 상태에서의 마진 확 대로 인해 은행업종의 순이자이익은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480 성장동력산업 LG유플러스 긍정적인 배당 정책 1도토리 조정희
1479 성장동력산업 현대위아 [4Q21 Review] 당황스러운 적자. 다만 일회성 악재가 많았다 1도토리 조정희
1478 성장동력산업 항공, 방위산업 Weekly 1도토리 조정희
1477 성장동력산업 제약 - 제약/바이오 Weekly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12월 은행 금리: 무원가 조달의 힘 1도토리 조정희
1475 성장동력산업 한국이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3도토리 조정희
1474 성장동력산업 LG생활건강 우려했지만 후(2.9조원) 포지셔닝은 재확인 1도토리 조정희
1473 성장동력산업 LG전자 파종의 계절 1도토리 조정희
1472 성장동력산업 삼성전자 4Q21반도체 부진, 1Q22모바일 화창 1도토리 조정희
1471 성장동력산업 인선이엔티 매립 사업 경쟁 강도 완화 여부가 관건 1도토리 조정희
1470 성장동력산업 LG전자 여전히 VS 는 동사의 미래 1도토리 조정희
1469 성장동력산업 NAVER 수익성 개선 지연에도 성장성은 확인 1도토리 조정희
1468 성장동력산업 SBS 스튜디오 S 의 성장에 모일 시선 1도토리 조정희
1467 성장동력산업 삼성에스디에스 물류부문 성장성과 수익성 개선 기대 1도토리 조정희
1466 성장동력산업 제일기획 탑라인 성장에 비친 자신감 1도토리 조정희
1465 성장동력산업 삼성SDI 2022년 수확의 시기 1도토리 조정희
1464 성장동력산업 한미약품 2021 년 4분기에는 북경한미의 이익성장세가 돋보인다 1도토리 조정희
1463 성장동력산업 LG전자 상반기 프리미엄 가전, 하반기 VS가 성장을 견인 1도토리 조정희
1462 성장동력산업 삼성전자 2022년 최대 실적 예상 1도토리 조정희
1461 성장동력산업 DL이앤씨 양호한 실적 , 매출 반등을 위한 준비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