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4년 한국 정부 지방 인구 분산과 균형 발전을 위한 저출산 대응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3
용량 7.04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4년 한국 정부 지방 인구 분산과 균형 발전을 위한 저출산 대응 방향.pdf 7.0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1-2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14 

정책 제안

 

1) 국토 부문


비수도권 거점 중심의 분산과 집중을 통한 국토 공간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다양한 특구의 기능이 중첩된

‘메가특구’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 지원을 통한 간접적 소득 증대(생활 비용 감소) 위해 주택 구입 및 임차 관련 금융 지원 강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출산 관련 공간 무차별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요 대응형 교통 수단 확충이나 디지털 교육, 의료 등의 방안 역시

적극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2) 보건의료 부문


균형발전과 지방 분산 관점에서 특히 비수도권 지역의 저출산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공공의료 인프라의 접근성 개선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지역 임산부와 신생아 의료 서비스 강화를 위해 산후조리 지원 강화, 관련 시설 확충,

산후 건강 관리 및 상담 서비스 제공 등 역시 고려 가능하다.

특히, 단순한 친출산 환경 조성에 머무르지 않고, 가족 전체를 지원하는 정책이 설계될 필요가 있다.
 

3) 교육 부문
 

현재 영유아 및 초등학교 단계의 무상 교육 지원을 확장하여 공평한 교육기회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교육 의존적인 입시제도 개혁을 통해 지역간 사교육 격차 해소를 도모해야 한다.

고등교육 측면에서는 지역의 대학 격차 해소와 지방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총괄적인 거버넌스 구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산-학 연계 관점에서, 광역시와 도 단위 지자체 사이의 협력을 위해서는 초광역단위 경제권을 중심으로한 지역 산업의 발전과 인력 양성에 대한 계획의 수립과 집행이 필요하다.
 

4) 법제 부문
 

출산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측면에서 ‘첫만남이용권’제도 등 기존의 단순 현금지원체계와 다양한 기타 지원제도를 결합하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다자녀 가구에 대한 법적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여 정책 대상의 범위를 확정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구감소 및 지방소별 대응을 위한 복수주소제 등의 도입 역시 고려 가능하다.

 

1. 연구의 배경


2023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2명이다. 전례 없이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의 합계출산율 추이를 감안 하면

그리 어색한 수치도 아니다. 우리나라 전체 합계출산율 추이는 우리나라의 발전 정도와 반대 방향으로 변해왔다.

1970년대 10년간 합계출산율 평균은 3.6명이었다.

그러나 이미 어느 정도 성장의 과실이 발생했다고 평가받는 1980년대 합계출산율 평균은 70년대 절반 수준인 1.9명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1990년대 1.6명, 2000년대 1.2명, 2010년대 1.15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결국 2018년 0.98명으로 1명 미만의 합계출산율을 보이기 시작하여 꾸준히 감소한 끝에 2023년 0.72명이라는

참담한 수준에 이른 것이다.

 

 

 

 

 

 

 

 

 

 

---------------------------------------------------------------------------------------------------------------------------------------------------------

 

 

 

 

 

 

 

 

 

 

수도권.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9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개발과제에 따른 정보통신 산업의 경제적 개발 영향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98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농정 산업의 전망과 주요 이슈 7도토리 노민우
79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가별 디지털 산업 트렌드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9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정보통신 산업의 주요 품목들의 동향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9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국가 플래그십, HPC 인프라 구축 사업 현황 13도토리 노민우
79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업과 산업을 중심으로 보는 주요국들의 디지털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
79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주요 전방산업과 도체업의 전망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기초산업의 실태와 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79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대한민국 전자정부의 실적현황과 시사점 9도토리 국준아
79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국내, R&D 활동 결과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해외 인재 확립을 위한 디지털 산업분야 비자 현황과 개선점 9도토리 국준아
79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공지능의 기술변화를 통한 콘텐츠산업의 고용현황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술발전에 따른 인공지능 안전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능형 인공지능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국가 개발투자 현황과 이머징 이슈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XR산업의 현황과 개선점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기후변화에 따른 하구, 연안의 정책방향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 산업 노동자 환경 분석 조사 13도토리 이지훈
79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콘텐츠사업 실태현황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의 중앙아시아 ODA 협력 및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