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4년 국내 및 글로벌 AI 산업의 현황과 트렌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민준석 | 조회수 | 42 | |
---|---|---|---|---|---|---|
용량 | 908.61K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24년 국내 및 글로벌 AI 산업의 현황과 트렌드.pdf | 908.61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11-2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1 |
Ⅰ. 인공지능 글로벌 동향
(AI 경쟁력) 미국의 빅테크 기업과 주요 스타트업이 초거대 AI 시대를 주도하며 중국 및 타 국가와의 격차를 확대한 결과,
미국 외 국가의 AI 경쟁력 지표가 상대적으로 전년 대비 하락
Ÿ (미국) 최근 MS, 구글 등이 생성형 AI 시대를 주도하며 타 국가와의 격차를 더욱 확대시킴
‑ 중국(2위), 싱가폴(3위), 영국(4위) 등은 AI 발전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나 지표는 오히려 감소
* 주요국 종합점수 변화(’21년→‘24년): 중국(62.9→53.9) 싱가포르(38.7→32.3) 영국(40.9→29.9)
Ÿ (추격그룹 상황) 압도적인 규모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미국으로 인하여 기술경쟁력을 높이며 추격 중이던
영국, 싱가폴, 한국 등 추격그룹의 지표가 ’24년 모두 급감
‑ 對中첨단기술 견제, 투자 제한조치 등으로 미국이 독보적인 1위로 올라서며 모든 국가의 지표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Ÿ (기술력) 중국이 양적인 지표로는 1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첨단 인공지능 개발능력 및 기술력은
미국이 장기간 주도권을 유지하고 있음
‑ (연구) 논문 수, 특허 수 등 양적인 지표에서는 중국이 압도적이나, 1인당 또는 개별기관당 연구 경
쟁력은 한국, 룩셈부르크, 미국 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됨
Ÿ (투자·인력) 글로벌 AI 투자와 인재가 모두 미국에 집중되고 있으며 ‘23년 들어 더욱 심화
‑ (투자) ‘23년 글로벌 민간 AI 투자는 960억 달러로 2년 연속 감소, 지역별로는 미국(672억 달러),
중국(78억 달러), 영국(38억 달러) 순이며 한국은 9위(13.9억 달러) 기록
‑ 투자금 중 미국에 투자되는 비중은 ‘22년까지 59.4% 수준이었으나, ’23년에는 73.1%로 증가
Ⅱ. 인공지능 산업 동향
(트렌드) 첨단 AI 기술은 학습비용 증가로 美빅테크 중심으로 발전 중이며 기업 간 기술격차는 좁혀지고 있으나,
폐쇄형 대비 개방형(오픈소스) 모형의 성능은 뒤처지는 중
Ÿ (기업 중심) 첨단 인공지능을 학습시키기 위한 비용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 접근성과 비용문제 등으로 인해
美빅테크가 기술발전을 주도
‑ ‘23년에는 Claude, GPT-4, Stable Diffusion v2, Llama2, DALL-E 3, Gemini 등 다수의 첨단 AI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대부분 미국 빅테크 또는 빅테크 출신 개발자가 설립한 스타트업에서 제작
Ÿ (효용성능 도달) 현재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능력을 능가하는 성능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수학, 생물학, 유전체학, 물리학,
신경과학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음
‑ 인공지능의 성능은 언어이해, 코딩, 이미지 분류 등 단일 분야에서는 인간 수준에 도달
‑ AI가 물리와 화학분야에서도 유의미한 성과를 내며 AI 대표 석학인 제프리 힌튼(토론토大 교수)과
데미스 허사비스(구글 딥마인드 대표)는 각각 ’24년 노벨물리학상과 노벨화학상을 수상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