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4년 CIS 6개국의 스마트팜 발전을 통한 농축산업의 현황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노민우 | 조회수 | 36 | |
---|---|---|---|---|---|---|
용량 | 5.76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동향] 24년 CIS 6개국의 스마트팜 발전을 통한 농축산업의 현황.pdf | 5.7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11-1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79 |
CIS국가는 넓은 농경지와 다양한 기후 등 농업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각국 정부 역시 높은 고용률 유지와 해외 수출 확대를 위해 농업 산업을 개발해 왔으며
최근에는 식량 안보 및 수자원 관리 등의 중요성까지 더해져 농업 산업 육성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농업 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CIS 각국은 스마트 팜을 도입 중이나 국가별 시장 상황은 경제력 수준과
그 동안의 투자 정도에 따라 도입 수준이 높은 러시아와 초기 단계인 기타 CIS 국가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러시아 정부는 2014년 크름 반도 병합을 계기로 식량 안보 강화 등을 위해 농업 및 농축산업 발전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농업 및 식품 가공 분야의 자립화를 위해 러시아 서 남부 지역에 온실을 대거 구축하였으며 관련 기자재 역시 해외로부터
꾸준히 수입하였다 지금도 농업 지식의 데이터화 추진, IT솔루션 제공 농업장비 임대 등의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운영 소프트웨어 LED 등 고기술 사양 품목은 주로 유럽에서 조달했으며 온실용 골조 유리배관 등 저기술 사양 품목은 중국에서
수입하거나 자체 생산하고 있다.
농업용 드론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현지화를 추진 중이다.
기타 CIS 국가들은 인건비가 저렴해 재래식 농업 방식이 보편적인 가운데 최근 정부 주도로 스마트 팜 산업을 육성하는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농지 면적 세계 위의 카자흐스탄은 농업 및 축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수자원 관리의 효율화 등을 위해 스마트 팜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 기후 및 토지 정보 수집 분야 수자원 관리를 위한 스마트 관개 분야 및 농업용 드론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활발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고온 건조한 기후와 부족한 농업 인프라 극복을 위해 스마트 팜 산업을 지원 중이며
최근 기후변화를 겪으면서 농가의 스마트 팜 수요도 조금씩 증가 중이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