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4년 인공지능 발달을 통한 무인화 전쟁 기술의 현황 및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02
용량 6.46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4년 인공지능 발달을 통한 무인화 전쟁 기술의 현황 및 전망.pdf 6.4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0-24 
출처 : 민간연구원 
페이지 수 : 92 

병력 부족과 AI 발전 , 실전성 입증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방위산업의 무인화 트렌드

 

• 우리나라는 급격한 출생아수 감소가 병력자원 감소로 직결되고 있으며 세계 최강 미국 역시 모병대상인구의 감소로

     병력 부족현상이 발생하기 시작 .
     병사를 대체할 무인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 증가 .

     여기에 때맞춘 AI 기술의 발전으로 무인화 무기의 개발은 전세계적 트렌드가 되고 있음

 

•신뢰성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전장의 AI 도입 및 무인화의 장벽이었으나 러 우 전쟁 및 이스라엘 하마스 사태에서 보듯 ,

   실전에서의 효용이 조금이라도 있는 무인 무기들은 다소 불완전하거나 윤리적 논란이 있더라도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

   각국의 개발속도 및 수요증가도 가속화될 것

 

1) 재래식 무기체계의 무인화 2) 차세대 무기체계 (4 족보행로봇 드론 등 ) 3) 기타 (전장 AI 분석 등)

 

• 1) 재래식 무기체계 : 대부분 무기체계에서 무인화 추진중 . 그러나 아직 주요 무기체계 전차 자주포 등 의 실제 전력화

         사례는 많지 않으며 개발단계의 사례도 전체보다는 부분무인화 주행 장전 등 가 먼저 진행 .

          다만 비교적 체계가 단순한 소형 전술차량 및 무인수상정 등은 실증단계까지 진행 중이며 ,
          특히 러 우 전쟁에서 전술적 가치가 증명된 무인수상정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 2) 차세대 무기체계 드론 ) 최근 실전 사용량 및 종류별 발전속도 급격히 증가 . 수요가 많은 반면 개발사도 많아 경쟁강도 심화 .
        안티드론 ) 드론 증가와 함께 드론방어체계의 수요도 증가 . 방어체계의 특성상 보안성 신뢰성 중시되어

        한국 업체의 서방진영 진출 가능성 있음 .
        (4족보행 로봇 )각국 군에서 시험적 도입이 증가, 일부 실전 사용 시작 단계.

        높은 활용성과 무기체계 중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향후 확장 가능성 높음

 

• 3) 기타 : (Wearable) 기반기술 감속기 액츄에이터 등 의 발전 속도에 다소 종속적이며 빠른 수요 증가는

         아직 기대하기 힘든 단계. 전장환경 분석) AI 발전과 함께 빠르게 전력화 중 .

         다만 Palantir 등 기술력 있는 일부 업체가 이미 시장을 선점 중이며 후속 진입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 .

 

 

 

 

 

 

 

 

--------------------------------------------------------------------------------------------------------------------------------------------------------

 

 

 

 

 

 

 

 

현역병.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7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산업의 디지털화로 인한 건출기술 분석 5도토리 노민우
77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캐릭터 업계의 소요 현황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7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저온 세라믹 기술 분석 및 파악 5도토리 노민우
775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4년 미국, 식품의약국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7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대한민국 정보 보호 실태 현황 조사 13도토리 노민우
77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오픈소스로 인한 기술발전과 기업의 발전성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7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10월 주요 사건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7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전세계 게임업계 조사 및 나라별 발전 전략 7도토리 노민우
77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기술발전을 통한사회적 상호작용 분석 11도토리 노민우
77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필수 국가에 대한 승인 표준안 발표 5도토리 황세영
77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전기 자동차의 공급장치 인증제도의 제정안 분석 5도토리 황세영
77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인공지능 생성에 대한 라벨링 표준안 발표 5도토리 황세영
77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가정용 주방기기와 관련 제품 에너지 효율에 대한 개정안 분석 7도토리 황세영
77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인공지능 생성 및 합성의 라벨링 관리에 대한 지침 분석 5도토리 황세영
77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유해인자 등록 규정과 가이드 분석 5도토리 이지훈
77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의 에너지 절약 방법과 효율적 소요법 분석 5도토리 이지훈
77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전기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배터리 기술규정 개정안 분석 5도토리 이지훈
77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대한민국 농업의 생산성 현황과 시사점 5도토리 이지훈
77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업 지원 대책 파악 7도토리 이지훈
77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시간순으로 확인하는 전세계 바이오 산업 1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