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4년 미대선, 트럼프 당선시, 정책변화와 따른 한국의 대응점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83
용량 326.02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4년 미대선, 트럼프 당선시, 정책변화와 따른 한국의 대응점 분석.pdf 326.0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0-2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 

트럼프 재선 시 통상정책 변화와 우리의 대응방안

 

민주당 후보로 해리스가 결정된 후 미 대선은 박빙 상황으로 전개될 전망이며, 한국은 산업 및 통상환경 변화의 영향이 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는 트럼프 재선에 대한 대응방안에 집중할 필요

 

╺ 무엇보다 트럼프의 보편적 기본관세와 상호무역법이 우리 산업과 미국시장 공략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할 필요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에 대비해 과거 집권 1기 동안 벌어졌던 한ㆍ미 간 통상현안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통상정책을 예측하는 데 주요한 근거


╺ 당시 현안으로는 미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와 우리나라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참여 검토, 한국산 세탁기 및 태양광 제품에 대한 긴급 수입 제한조치 발동,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철강제품 관세 부과,

    한ㆍ미 FTA 개정 협상 등

 

(트럼프 2기 시 통상정책 방향) 트럼프 재집권 시 현재의 비상호적인 무역구조로 발생한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문제 우선 대응 전망


╺ 미국 보수 정가는 WTO의 최혜국대우(MFN) 조치로 인해 광범위한 상품에 대해 낮은 수준으로 부과하는 비대칭적인

    수입 관세율을 무역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

 

╺ 무역수지 적자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미국 상호무역법(United States Reciprocal Trade Act, USRTA)을 도입해 무역

    상대국에 상응하는 수준의 수입 관세 부과 가능

 

(우리의 대응방안) 트럼프 2기 등장 시 1기에 비해 더 많은 국가를 대상으로 공세적인 통상 정책이 예상되며,

주요 신흥국들이 그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

 

╺ 직접적으로 한국에 대해서는 증가하고 있는 미국의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 축소를 위해 다양한 통상 압박을 가해올 수 있음.

 

╺ 2019년 한ㆍ미 FTA 개정을 전후해 미국의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 폭이 증가한 품목을 중심 으로

     FTA 재협상 요구 및 관련한 통상 압력에 대비할 필요

 

╺ 승용차, 컴퓨터 부분품 및 저장매체, 냉장고 등의 제품에서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증가, 동

    품목들에 대한 미국 측의 무역수지 개선 압력이 증가할 전망

 

╺ 그 밖에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미국이 통상 압력을 행사할 때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품목에 대해서도 검토 필요

 

 

 

 

 

 

 

---------------------------------------------------------------------------------------------------------------------------------------------------------

 

 

 

 

 

 

 

 

 

 

관세.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7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스마트 자동차와 수동 자동차의 비교 분석 보고서 5도토리 국준아
77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해상무역 컨테이너의 변동과 25년 전망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7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미국 대선이후, 예상되는 투자 변화와 스타트업 분석하기 5도토리 국준아
77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정보통신산업 관련 기업의 경기 조사 및 분석 9도토리 국준아
77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10월 한국 무역 수출입현황 분석 보고서 5도토리 국준아
77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대선결과가 한중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하기 5도토리 국준아
7774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24년 자유무역협정 체결 국가들의 농산물 무역 현황 11도토리 정한솔
77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현황 분석 13도토리 정한솔
77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한 위험성과 사례 파악 7도토리 정한솔
77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인공지능 주 기업의 기술 현황 분석 7도토리 정한솔
77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한 경제 변화와 전망 분석 7도토리 정한솔
77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세르비아, 태양광과 원전 에너지 산업 추친현황과 한국 기업의 전략 9도토리 정한솔
77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인구 고령화로 인한 기술 동향과 정책 분석 7도토리 정한솔
77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벤처캐피탈의 현황 파악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정한솔
77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글로벌 이슈 한번에 파악하기 7도토리 정한솔
77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자동차 부품 산업의 현황 분석 11도토리 강정훈
776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통한 농업 정책 분석 5도토리 강정훈
776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현재 조선산업의 현황과 미래전망 분석 7도토리 강정훈
776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디지털 서비스 산업의 변화와 현황 7도토리 강정훈
77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산업용 로봇의 감소 현황 분석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