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기업의 AI 기술도입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보고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208
용량 554.92K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기업의 AI 기술도입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보고서 .pdf 554.9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9-3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7 

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국내 기업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

 

기술적 한계에 직면하여 두 차례 빙하기(winter)를 맞이한 바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은 혁신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핵심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Lee, H. S.et al., 2022). 실상 AI 기술은 1980년대에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이

등장하며 많은 관심을 유발하였으나, 이를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한계와 경제성 문제로 인해 실제 활용되기에는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2012년 ‘딥러닝’ 알고리즘이 등장함과 동시에 이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역시 크게 발전하면서 기존의 한계를 넘어서게 되었으며, AI 기술 활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Baek, etal., 2016; Lee & Nam, 2022).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이 야기한 디지털 전환의 확산과 맞물려 AI 기술 도입·활용 사례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Agarwal, etal., 2024; IBM, 2024). 더욱이 AI 기술이 기업의 성과 향상을 견인한다는 주장과 조사·연구를 통한

실증적 증거(Evidence)들이 다수 제시되면서 산업 혁신과 경제성장을 위한 기업의 AI 도입 촉진 및 활성화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기업의 AI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해와 최신의 증거는 부족한 실정으로 보인다.
문헌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AI 도입 영향요인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는 해외 연구자 및 해외 기업·산업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Agrawal, 2023; Chatterjee, et al., 2021; Khan,et al., 2023; McElheran, et al., 2024; Merhi &Harfouche, 2024; Solaimani & Swaak, 2023).

 

국내 연구의 경우 다음과 같이 객관성 및 시의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첫째, AI 기술만이 아닌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또는 ‘디지털전환기술’과 같이 다른 기술을 포함한 포괄적 범위로 분석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AI 기술 도입에 한하여 그 결정요인을 객관적으로 식별하기 어렵다(Kim, et al., 2020; Jung &
Whang, 2024).

 

둘째, Cho, et al.(2023)은 최근 발표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2017년의 국내 기업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어 시의성이 미흡하다.

특히 2020년초에 발생한 코로나-19 전후로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과 산업 패러다임에 지대한 변화가 있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22), 2020년 이후의 현상을 포착(측정)한

데이터에 기반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지능.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선후보들의 과학기술 공약 및 비교분석 5도토리 강정훈
770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4년 소비자 혼란을 야기하는 상품 분석 보고서 13도토리 강정훈
77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 성장을 위한 스타트업의 혁신기술 보호와 지원 전략 7도토리 노민우
770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기술 발전의 현황 5도토리 노민우
77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OPEC 석유 소요 하향 미래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7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이차전지 양극재의 기술 현황 5도토리 국준아
7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래전쟁 대응과 국방 개발체계의 발전 전략 9도토리 국준아
77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반도체 과학법에 근거한 국가 기술개발 전략 7도토리 국준아
770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유가 수요의 감세 예측 보고서 9도토리 국준아
76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생산인구 감소 극복방안, 외국인 인력의 활용 확대안 9도토리 국준아
7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칠레, 실외용 조명의 빛 공해 신호송신 개정 5도토리 장민환
76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식품 물질 및 물품용 잉크 관련 표준서 5도토리 장민환
76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메릴랜드주의 신제품에 관한 에너지 효율 표준 개정안 5도토리 장민환
7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규제 물질 관련 라벨링 요구현황 5도토리 국준아
76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브로셔의 현황 13도토리 이지훈
76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9월 항공 및 수송 실적현황 5도토리 이지훈
76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량암호화 드론 RC 무선조종기 제어데이터의 보안 기술 5도토리 이지훈
76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선애 따른 자동차 업계의 전망 9도토리 이지훈
76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통신 장비의 운영 체제 보안과 제제 7도토리 장민환
76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가정용과 사무기기의 전력 소비 관련 에코디자인의 요건 개정 5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