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PIPE에 관한 제도 분석과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05
용량 284.88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PIPE에 관한 제도 분석과 현황.pdf 284.8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9-2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9 

PIPE에 관한 제도적 분석과 시사점

 

PIPE(Private Investment in Public Equity)란 “기업공개된 회사의 증권을 전문투자자에게 사모로 판매”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PIPE에 관련한 투자 위험에는 상대방 위험, 시장 위험, 금융 위험, 규제 위험, 시간 위험 등이 있다.

이러한 투자 위험을 잘 관리하는 경우 PIPE는 단순한 제3자 배정 자금조달을 넘어서는 신속성, 유연성, 안정성 등에

기반한 에퀴티파이낸싱 및 인수금융의 수단이 된다.

 

그러나 국내 PIPE 시장은 관련 사전 규제로 인해 효율적 에퀴티파이낸싱 수단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으며

인수금융 수단으로의 활용이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극히 저조하다.
 

단기적으로, PIPE에 대한 규제 완화는 대기업의 경영권 승계와는 무관한 분야에서 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최소 시간과 비용으로 최대 규제 완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분야는

SPAC 상장 후 인수금융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PIPE 거래이다. 따라서 SPAC 상장 후 PIPE를 위해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요구하는 감독 관행과 상장규정 시행세칙은 폐지되어야 할 것 이다.


국내 PIPE 활성화를 위한 장기 방안으로, 이사의 충실의무 강화, 자본시장법상 PIPE 관련 공시제도 개선,

시장참여자 인식 변화를 위한 제도적 명확성 등이 필요하다. 국내 PIPE에 대한 경직된 사전 규제가 이사의 \

충실의무 위반 사례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이사 충실의무의 수준과 위반시 제재가 강화되어야

현재의 사전 규제를 사후 규제로 전환할 수 있다. PIPE 공시규제 관련하여, 미국과 같이 지배주주가 자기 주식을 제3자배정

(블록딜 등)하는 경우 증권신고서 제출을 의무화하는등 발행공시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PIPE 관련 규제의 명확성을 높여서
시장참여자의 반감을 최소화하고 시장의 예측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dddd.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선후보들의 과학기술 공약 및 비교분석 5도토리 강정훈
770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4년 소비자 혼란을 야기하는 상품 분석 보고서 13도토리 강정훈
77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 성장을 위한 스타트업의 혁신기술 보호와 지원 전략 7도토리 노민우
770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기술 발전의 현황 5도토리 노민우
77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OPEC 석유 소요 하향 미래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7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이차전지 양극재의 기술 현황 5도토리 국준아
7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래전쟁 대응과 국방 개발체계의 발전 전략 9도토리 국준아
77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반도체 과학법에 근거한 국가 기술개발 전략 7도토리 국준아
770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유가 수요의 감세 예측 보고서 9도토리 국준아
76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생산인구 감소 극복방안, 외국인 인력의 활용 확대안 9도토리 국준아
7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칠레, 실외용 조명의 빛 공해 신호송신 개정 5도토리 장민환
76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식품 물질 및 물품용 잉크 관련 표준서 5도토리 장민환
76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메릴랜드주의 신제품에 관한 에너지 효율 표준 개정안 5도토리 장민환
7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규제 물질 관련 라벨링 요구현황 5도토리 국준아
76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브로셔의 현황 13도토리 이지훈
76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9월 항공 및 수송 실적현황 5도토리 이지훈
76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량암호화 드론 RC 무선조종기 제어데이터의 보안 기술 5도토리 이지훈
76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선애 따른 자동차 업계의 전망 9도토리 이지훈
76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통신 장비의 운영 체제 보안과 제제 7도토리 장민환
76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가정용과 사무기기의 전력 소비 관련 에코디자인의 요건 개정 5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