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라오스, 계절 노동자 한국 농경제 수출 역군으로 발돋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5
용량 42.0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라오스, 계절 노동자 한국 농경제 수출 역군으로 발돋음.pdf 42.0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9-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한국으로 향하는 라오스 계절노동자 규모 가파른 증가세, 2022년 335명 → 2023년 2,330명

라오스 농업분야 투자를 고려한다면, 내수/수출을 겨냥한 농산식품가공 사업 검토 필요

지역간 인력교류를 발판으로 지방특화 거점 및 시장다변화 수출기반 조성 가능

 

라오스 계절노동자 2022년 335명 → 2023년 2330명으로 595.5% 증가

 

한국을 방문하는 라오스 국적자는 2022년 4537명에서 2023년 1만2660명으로 179% 증가했고, 2024년 상반기에만 1만431명으로 곧 2023년 전체 입국자 수를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앞에서 언급했던 라오스 국적의 한국 입국자 1만431명 중 계절노동자는 5625명 규모로 54%에 육박했고, 한국을 찾는 계절노동자 수는 앞으로도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농촌지역 일손 문제 해결을 위한 역군 라오스 계절노동자

 

라오스는 2021년부터 계절노동자를 선발하여 한국으로 인력 송출을 시작했다. 계절노동자는 한국 농촌지역의 일손 부족 문제 해결에 있어 역군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일손이 부족한 한국 지자체는 라오스 지자체와 앞다투어 MOU를 체결했고, 기숙사를 제공하는 등 라오스 노동 인력 수급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일부 지자체에서는 해당 지역에 거주중인 결혼 이민자의 친척을 계절 노동자로 초대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2024년 상반기 누적 기준, 대구경북(2146명), 강원(1786명), 경남(1442명), 충북(1090명), 광주전남(750명) 순으로 계절노동자 인력을 수급했고, 라오스 계절노동자는 입국 후 5개월(연장 시 최대 8개월) 동안 해당지역에서 계절노동자로 일할 수 있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단순 일손 수급에 그치지 않고 상호간 상호보완적 협조 관계를 구축하기위해 농업기술전수 및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인력 수급 문제를 선행하고 있는 단계로 지역간 협력 방안에 대한 세부논의는 추후 협의가 제반 될 것으로 보인다.

 

KOTRA 비엔티안 무역관에서는 라오스의 계절 노동자를 수급 받고 있는 지자체의 농업 특산품을 지자체 홈페이지 및 언론보도 자료를 통해 자체 조사를 진행했다. 추후 협의체가 구체화되는 단계에서 해당 작물에 대한 환경적, 기술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나 지자체 특산품은 라오스의 협력 지자체와 재배 가능성, 기술 이전, 역량 강화 등에 대한 논의 시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지자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라오스 지역사회와 연결되어 사업화가 될 경우 유기적인 협의체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높다.

 

 

 

 

 

 

 

 

 

---------------------------------------------------------------------------------------------------------------------------------------------------------

 

 

 

 

 

 

 

 

식량.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24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4년 카자흐스탄, 중고차 시장의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네시아, 친환경 선박시장의 모습과 진출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본, 차세대 선박으로 2030년 선박업계 선두를 노린다 3도토리 노민우
9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럽연합의 에코디자인 규정집 9도토리 노민우
9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의 현황과 한국 기업의 진출 전략 3도토리 노민우
9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베트남, 친환경 조선산업과 해양 산업의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도미니카공화국, 대규모 전력 네트워크 현대화 계획 시작 5도토리 노민우
9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UAE, AI산업의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노력 가세 3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라오스, 계절 노동자 한국 농경제 수출 역군으로 발돋음 3도토리 노민우
923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폴란드, 컨베이어 시스템의 기술 3도토리 노민우
923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우즈베키스탄, 자동차파츠의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루마니아, 식품업계에 유행하는 K푸드 3도토리 노민우
923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그리스, 헤어드라이기 시장과 현재 트렌드 3도토리 노민우
92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호주 콘텐츠산업 분석 보고서 5도토리 노민우
92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공형 계절 근로에 따른 시범사업의 성과 및 해결점 13도토리 노민우
92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주요 이슈와 주요국가의 산업정책에 따른 공급망의 변화 7도토리 노민우
92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9월 경제현황 분석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9231 성장동력산업 [산업정책] 남북 경제통합 관련 규정과 협정문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92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경쟁전략 13도토리 노민우
922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필리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공공 서비스 혁신의 모습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