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폴란드, 컨베이어 시스템의 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1
용량 28.7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폴란드, 컨베이어 시스템의 기술.pdf 28.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9-1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제조업부문 투자, 산업자동화, 전자상거래 활성으로 수요 지속 예상

최근 2년간 對 한국 수입 큰 폭 증가, 주요수입국 1위

 

시장동향

 

폴란드에서 산업 자동화 설비가 보편화되면서 컨베이어 설비는 산업 및 물류 자동화와 결합해 더욱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덕분에 작업이 더 쉽고 빨라지며, 생산 과정의 비용 절감 효과가 더 높아지고 있다.

 

컨베이어의 수요는 신규 생산설비 투자와 기존 공장의 현대화 및 자동화 투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인플레이션, 에너지 가격 급상승 등으로 경기 침체가 발생해 신규 투자가 다소 주춤했으나, 2023년에는 유미코어와 폭스바겐그룹 파워코 등 자동차 산업, 특히 전기차와 배터리 부품 및 핵심 소재 관련 산업에서 잇따른 공장 건설 계획이 발표됐다. 일부 기업의 신규 투자 설비와 물류창고의 현대화 및 자동화 추세에 따라 컨베이어의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류·창고 산업은 컨베이어의 주요 수요처이다. 폴란드에서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은 물류·창고 시장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 기간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으로 물류·창고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컨베이어 시스템 수요가 많이 증가했다. 최근 폴란드 국내외 경제의 어려움으로 창고 시장도 어려움을 겪었으나, 2023년 4분기부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인다. 이에 따라 앞으로도 완만하지만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

 

Cushman & Wakefield가 최근 발표한 폴란드 물류·창고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폴란드의 전체 물류·창고 공간 규모는 최고조에 달했던 2022년 대비 13% 감소한 3170만 평방미터였다. 2024년에는 이 규모가 3400만 평방미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Savills Research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건설 중인 물류·창고 센터는 약 250만 평방미터로 대부분 바르샤바, 브로츠와프 등 주요 상공업 밀집 지역에 집중돼 있다.

 

수입 동향 및 대한국 수입 규모

 

2023년 폴란드의 컨베이어를 포함한 운반 하역 시스템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22.6% 증가한 1억3495만 달러였다. 주요 수입국은 한국(43%), 독일(17.5%), 오스트리아(9.7%), 이탈리아(6.6%), 중국(4.8%) 순이다.

 

지난 10년간 수입 통계를 보면, 이 품목은 2021년까지 적게는 24%, 많게는 약 56%의 비중을 차지하며 독일이 주요 수입국 1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22년과 2023년에는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각각 23.8%와 43%를 차지하며 독일을 앞질렀다. 대(對)한국 수입은 최근 3년간 수입액이 급증했으며, 특히 2022년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1.9%, 2023년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1.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

 

 

 

 

 

 

 

 

지역별.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24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러시아, 립 메이크업 화장제품의 현황 3도토리 정한솔
924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4년 카자흐스탄, 중고차 시장의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네시아, 친환경 선박시장의 모습과 진출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본, 차세대 선박으로 2030년 선박업계 선두를 노린다 3도토리 노민우
9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럽연합의 에코디자인 규정집 9도토리 노민우
9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의 현황과 한국 기업의 진출 전략 3도토리 노민우
9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베트남, 친환경 조선산업과 해양 산업의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도미니카공화국, 대규모 전력 네트워크 현대화 계획 시작 5도토리 노민우
9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UAE, AI산업의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노력 가세 3도토리 노민우
92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라오스, 계절 노동자 한국 농경제 수출 역군으로 발돋음 3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폴란드, 컨베이어 시스템의 기술 3도토리 노민우
923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우즈베키스탄, 자동차파츠의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루마니아, 식품업계에 유행하는 K푸드 3도토리 노민우
923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그리스, 헤어드라이기 시장과 현재 트렌드 3도토리 노민우
92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호주 콘텐츠산업 분석 보고서 5도토리 노민우
92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공형 계절 근로에 따른 시범사업의 성과 및 해결점 13도토리 노민우
92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주요 이슈와 주요국가의 산업정책에 따른 공급망의 변화 7도토리 노민우
92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9월 경제현황 분석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9231 성장동력산업 [산업정책] 남북 경제통합 관련 규정과 협정문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92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경쟁전략 1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