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4년 주요 이슈와 주요국가의 산업정책에 따른 공급망의 변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05
용량 909.63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4년 주요 이슈와 주요국가의 산업정책에 따른 공급망의 변화.pdf 909.6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9-1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2 

주요국 산업정책과 산업별 국내 공급망 변화

 

Ⅰ. 산업정책 관련 국내외 동향


글로벌 공급망 위기를 경험한 주요국은 산업정책을 통해 경제안보를 달성하고자 노력 중
 

Ÿ (경제안보의 등장) 글로벌 주요국은 미·중 무역분쟁, 팬데믹 이후 국경봉쇄, 물류대란 등의 경험을 통해

    공급망 자립화와 경제안보*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기 시작
 

*경제안보(economic security): 개인관점에서의 경제적 안정을 뜻하기도 하나, 국가의 관점에서 국가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상품과 서비스 확보를 포함한 국가경제의 자립 및 통제권 확보와 외국의 경제·무역 관련 조치나 투자에 대한

  자국 경제의 안정성 등을 뜻함
 

Ÿ (산업정책의 변화) 과거 산업정책은 주로 개발도상국 수준의 국가가 산업경쟁력 확보, 무역적자해소 등을 위하여 활용해왔으나,

    최근에는 경제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미국, EU 등 선진국에서 시작되어 전세계로 확산


*(IMF, 2024) 중국·미국·EU 중 한 국가가 특정 상품(예: 반도체)에 대해 산업 보조금을 지급한 경우 1년 이내에

   다른 국가에서 동종 상품에 대해 보조금으로 맞대응한 사례가 전체의 73.8%로 집계 최근 주요국의 핵심 산업정책은

   반도체, 이차전지, 전기차 등 첨단기술·친환경 분야의 산업육성과 이에 투입되는 원자재 확보에 집중되어 있음


Ÿ (목표) 주요 선진국 산업정책의 목표는 첨단기술·친환경 관련 분야에서의 對중국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공급망 주도권을

    확보하고 자국과 우방국을 중심으로 공급망 재구축하는 것임
 

‑ 중국은 장기간 정부주도로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자국 산업을 육성하였으며 2010년 중후반부터 육성범위가 첨단기술분야로

  확장됨에 따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이를 위협으로 인식

 

 

 

 

 

 

 

 

 

 

 

---------------------------------------------------------------------------------------------------------------------------------------------------------

 

 

 

 

 

 

 

 

 

 

전지.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6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메릴랜드주의 신제품에 관한 에너지 효율 표준 개정안 5도토리 장민환
7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규제 물질 관련 라벨링 요구현황 5도토리 국준아
76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브로셔의 현황 13도토리 이지훈
76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9월 항공 및 수송 실적현황 5도토리 이지훈
76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량암호화 드론 RC 무선조종기 제어데이터의 보안 기술 5도토리 이지훈
76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선애 따른 자동차 업계의 전망 9도토리 이지훈
76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통신 장비의 운영 체제 보안과 제제 7도토리 장민환
76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가정용과 사무기기의 전력 소비 관련 에코디자인의 요건 개정 5도토리 장민환
76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브라질, 통신 전파 방해장치의; 적합성 평가 5도토리 장민환
76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 사이버 보안 인증서 통지 5도토리 장민환
76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3분기 외국인 투자와 환경정책의 현황 11도토리 장민환
76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3분기 바뀌는 고용노동정책과 제도 5도토리 국준아
76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전기자전거의 리튬이온배터리 강제 제품인증 시행 7도토리 국준아
76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전기자전거 충전기의 제품인증 시행과 제정안 5도토리 국준아
76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도, 천장형 선풍기의 에너지 소비 표준 개정안 5도토리 국준아
76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오만, 통신기기의 형식및 통관 인증마크 결의안 5도토리 국준아
76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범용 AI 시대의 서막과 활성화를 위한 기반 3도토리 국준아
767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하반기 외국인 투자와 관세정책 현황 3도토리 장민환
76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물리정보 신경망의 발견과 현재 현황 및 미래 조사서 5도토리 국준아
76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산업 발전 및 규제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전략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