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필리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공공 서비스 혁신의 모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37
용량 28.3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필리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공공 서비스 혁신의 모습.pdf 28.3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9-1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화와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

스마트 시티 개발과 5G 인프라 확장의 진전

 

필리핀 정부는 디지털 전환을 주요 국가 과제로 설정하며, 다양한 전자정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이하 DICT), 고등교육위원회(Commission on Higher Education, 이하 CHED),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이하 DOH), 그리고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s Statistc Authoity, 이하 PSA) 등 주요 정부 부처가 중심이 되어 전자정부, 5G 인프라 구축, 스마트 시티 개발, 핀테크 및 전자상거래 확장, 사이버 보안 강화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는 필리핀의 경제 및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이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공공 서비스의 확대

 

DICT는 전자정부 슈퍼 앱(e-Gov Super App)과 필리핀 통합 신분증 시스템(PhilSys)을 통해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언급한 두 가지 프로젝트는 공공 서비스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정부와 국민 간의 상호작용을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e-Gov Super App은 세금 납부, 허가 신청, 복지 서비스 등의 다양한 정부 서비스를 하나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제공하여 국민들이 더 쉽게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앱은 디지털 접근성이 떨어지는 농촌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농촌 지역의 디지털 격차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hilSys는 PSA가 주도하는 통합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으로, 필리핀 국민에게 통합된 신분증을 제공하여 정부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을 단순화한다. PSA에 따르면 2024년 8월 23일 기준, 8953만4453명의 필리핀 국민이 PhilSys에 등록된 상태이며, 이 시스템을 통해 사회 보장 혜택, 은행 서비스 및 기타 공공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훨씬 더 용이해질 예정이다.

 

 

 

 

 

 

 

 

 

 

 

 

 

---------------------------------------------------------------------------------------------------------------------------------------------------------
 

 

 

 

 

 

 

 

 

 

 

 

 

혁신.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6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전고체 전지 기술 통계 보고서 5도토리 국준아
76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GT인사이트 EU AI 규정 확립의 노력과 연구개발 13도토리 국준아
7654 성장동력산업 [정부 과제 제안서] 24년 우주,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사업 안내 RFP 5도토리 정한솔
76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공형 계절 근로에 따른 시범사업의 성과 및 해결점 13도토리 노민우
76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주요 이슈와 주요국가의 산업정책에 따른 공급망의 변화 7도토리 노민우
765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9월 경제현황 분석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7650 성장동력산업 [산업정책] 남북 경제통합 관련 규정과 협정문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76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경쟁전략 13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필리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공공 서비스 혁신의 모습 3도토리 국준아
76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필리핀 의류 세탁기에 대한 에너지 현황 보고서 5도토리 국준아
76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신용도 확인보고서 5도토리 국준아
76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18~2022년 농촌의 경제 살펴보기 13도토리 국준아
76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X 글로벌 프로젝트 보고서 13도토리 정한솔
764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 오공으로 확인하는 중국 게임업계 현황 3도토리 정한솔
76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과 녹색성장 산업의 안내서 13도토리 강정훈
76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이동통신산업의 발전과 UAM의 융합 보고서 5도토리 강정훈
76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과학기술 R&D·ICT 정책의 이슈보고서 5도토리 강정훈
76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태양광 제조 산업의 표준 조건 분석 5도토리 노민우
76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럽연합,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규정(EU) 개정안 5도토리 노민우
7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전자 폐기물 회수와 재활용 이행 분석 5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