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4년 케냐 정부의 디지털 전환의 현황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33 | |
---|---|---|---|---|---|---|
용량 | 38.54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24년 케냐 정부의 디지털 전환의 현황.pdf | 38.5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09-12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 |
케냐의 전자 정부는 e-Citizen, 후두마(Huduma) 센터를 중심으로 발전 중
사이버 보안, 시스템 불안 등 당면 이슈 해소 필요
케냐는 아프리카 내에서 전자정부(E-Government)를 선도하는 국가로 손꼽힌다. 2004년 케냐 정부는 전자정부 로드맵을 발표하고 관련 정책을 제정했다. 이후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공공 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 왔다. 케냐 전자정부의 대표적인 서비스는 우리나라의 정부24와 유사한 e-Citizen과 후두마(Huduma) 센터(주민센터)이다. 두 개의 핵심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접근성 강화, 디지털 신분증 도입 등 많은 성과를 이뤘지만, 여전히 사이버 보안 문제와 시스템 안정성 향상과 같은 과제가 남아 있다.
전자정부 등장 배경
케냐도 아프리카의 여타 국가와 마찬가지로 1990년대 말부터 공공 서비스의 비효율, 관료주의, 절차의 복잡성 등으로 국민 불만이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2000년 초, ICT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화가 촉진, 점차 전자정부가 확대됨에 따라, 케냐 정부도 공공 서비스 효율성 개선, 부패 방지를 위해 전자정부 도입을 추진했다.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 또한 기술·재정적 지원으로 케냐의 전자정부 구축을 지원했다.
2008년, 케냐는 ICT 기술을 통해 중진국으로 도약하려는 국가 계획(Vision 2030)의 일환으로 전자정부 도입을 가속했다.
케냐의 전자정부 관련 정책
케냐는 2004년, Kenya E-Government Strategy를 제정하면서 전자정부 도입을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 이후 2008년 Kenya Vision 2030을 발표, 전자정부를 포함한 공공 서비스의 전면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정부는 2010년 중반부터 Kenya Digital Economy Blueprint(2019), National Digital Master Plan 2022-2030 (2022) 등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계획과 세부 목표를 설정해, 전자정부 프로젝트는 추진력을 얻게 됐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