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국내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위한 현지 규제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2
용량 10.1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국내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위한 현지 규제 분석 .pdf 10.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9-0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9 

베트남 서비스 시장 진출 기본 요건

 

우리 기업이 베트남 서비스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 다음 두 가지 서비스 공급 방식 중 하나를 택할 수 있음


* 두 가지 방식의 차이점은 ‘현지 법인 설립 유무’임
 

➀ 국경간 공급(Cross-border supply) 방식: 우리나라의 서비스 공급자(수출자)와 베트남의 서비스
   소비자(수입자)가 각각 자국에 있으면서 인터넷이나 우편 등을 통해 서비스만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방식
   (현지법인 설립 X)
 

예) 인터넷을 통한 경영컨설팅, 법률자문 서비스, 문화 콘텐츠 수출 등
 

➁ 상업적 주재(Commercial Presence) 방식: 우리나라의 서비스 공급자(수출자)가 서비스 소비자
    (수입자)가 있는 베트남에 가서 법인 등을 설립해서 서비스를 판매하는 방식(현지법인 설립 O)
     예) 외국 은행이 특정국에 법인이나 지사를 설립하고 그 나라에서 은행업을 수행하는 경우

     이러한 서비스 공급 방식 분류는 우리나라와 베트남이 체결한 자유무역협정(예: 한-베트남 FTA)2)등

     베트남이 서비스 시장 개방을 약속한 국제협정들에서 ‘양허’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예) 특정 서비스분야는 외국 서비스 공급자의 ‘국경간 공급’은 허용하지 않지만, ‘상업적 주재’는 일부 조건 하에서 허용

 

① 베트남 국내법에 따라 국경간 공급을 금지/제한하고 있는가를 확인
② 한·베트남 FTA에 따라 해당 분야의 ‘국경간 공급’ 방식이 양허되어 있는지 확인
③ 베트남 법에 따른 국경간 서비스 공급 관련 각각의 규제를 확인

 

 

ICT 서비스의 정의(컴퓨터 및 관련 서비스, 통신서비스)

 

ICT는 IT(Information Technology)에 통신(Communication)이 더해진 개념으로 정보 기술과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정보를 주고받으며 운영, 관리, 이용하기 위한 기술을 통틀어 지칭함
OECD는 “ICT 제품은 주로 전송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적 수단을 통해 정보 처리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하거나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 것”이라고 정의

ICT 서비스에는 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기타 컴퓨터 서비스, 컴퓨터 소프트웨어 재생산 또는 배포가 포함됨


● WTO 분류체계상 구체적으로 한정된 카테고리를 지정하기 어렵지만, 본 안내서에서는 주로 컴퓨터 및 관련 서비스

    (Computer and related services)10)와 통신서비스(Telecommunications)11), 그리고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전자게임업              (Electronic games business)12)과 베트남 전기통신법(2023년)에 새로 추가된

    통신 도매업(Wholesale activities in telecommunications)13)등이 ICT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함

 

 

 

 

 

 

 

 

 

---------------------------------------------------------------------------------------------------------------------------------------------------------
 

 

 

 

 

 

 

 

 

 

 

에듀.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6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중동 GCC 지역의 수출 현황 분석 11도토리 강정훈
76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세계 농업의 변화 13도토리 강정훈
766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 의약품의 미국 유통시장 진출 방안 보고서 13도토리 장민환
766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4년 인도 국가신용도 평가 보고서 5도토리 장민환
766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PIPE에 관한 제도 분석과 현황 7도토리 노민우
76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합성 데이터 연구현황과 금융 업계 적용 방안 5도토리 노민우
76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율주행과 오토모티브 카메라 영상 신호 기술 자료 SW 5도토리 노민우
76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멀티플랫폼 3D 도시모델 가시화 기술 5도토리 노민우
76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고출력, 고해상 디지털 엑스선 튜브 기술 5도토리 노민우
765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대선 알아보기 및 후보들의 주요정책 7도토리 국준아
765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XR 산업의 현황과 시사 보고서 9도토리 국준아
765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EU 미래 경쟁력 정리 보고서 5도토리 국준아
76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전고체 전지 기술 통계 보고서 5도토리 국준아
76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GT인사이트 EU AI 규정 확립의 노력과 연구개발 13도토리 국준아
7654 성장동력산업 [정부 과제 제안서] 24년 우주,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사업 안내 RFP 5도토리 정한솔
76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공형 계절 근로에 따른 시범사업의 성과 및 해결점 13도토리 노민우
76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주요 이슈와 주요국가의 산업정책에 따른 공급망의 변화 7도토리 노민우
765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9월 경제현황 분석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7650 성장동력산업 [산업정책] 남북 경제통합 관련 규정과 협정문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76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경쟁전략 1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