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분석] 유연근무제로 인한 노동시장의 효과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34 | |
---|---|---|---|---|---|---|
용량 | 994.12K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분석] 유연근무제로 인한 노동시장의 효과.pdf | 994.12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08-30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94 |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우리나라에서 유연근무제가 확산된 것은 2010년대이지만, 사용자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팬데믹 이후이다.
유연근무제 운영 사업장 비율은 팬데믹 전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근로자가 이를 활용하는 사업장 비율은 팬데믹 전까지
현저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팬데믹 기간에 제도를 사용한 근로자가 유의하게 증가했음에도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보편화 전망은 불투명하다.
유연근무제 운영 사업장이 제도를 유지한 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은 팬데믹 종식 후 유연근무를 확대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사용자들의 유연근무제에 대한 인식이 근로자에 대한 복지 개념에서 생산성 제고의 수단으로 변하고 있어 팬데믹 전보다 그 전망이 밝아졌음을 알 수 있다.
사업장의 유연근무제 운영 가능성은 그 특성에 상당 부분 의존한다.
유연근무제 운영 사업장 비율이 높은 업종으로는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 및 기타와 전기ㆍ운수ㆍ통신ㆍ금융이 있었고, 직종으로는 관리ㆍ전문직과 서비스ㆍ판매직이 있었다. 사무직은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 비율이 높음에도
유연근무제 운영 사업장 비율이 높지 않았다.
선행 연구에서는 감원이 어려운 기업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한 고육책으로 유연근무제를 도입했을
가능성을 지적했으나(박찬웅 외, 2022), 중소기업과 무노조 사업장에서 팬데믹 이후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비율
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팬데믹 전에는 도입 가능성이 낮았던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도입이 활발했음을 보였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