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24년 ELS 시장환경 변화로 인한 증권업계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13
용량 699.78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24년 ELS 시장환경 변화로 인한 증권업계 영향.pdf 699.7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8-2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9 

최근 ELS 시장환경 변화 및 증권업에 대한 영향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오랫동안 이어진 저금리 환경에서 ELS는 예금 대비 높은 성과를 바탕으 로 투자자에게 인기를 모으며

빠르게 성장하였다.

 

그 과정에서 은행은 수수료 수입을 거뒀으며, 증권사는 ELS를 통해 유입된 자금을 운용하여 트레이딩 수익을 창출하였다.

그러나 최근 홍콩H 지수의 급락으로 인해 ELS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면서, ELS의 위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게 되었다.

향후 투자자 보호조치가 강화되고 ELS에 투자하거나 ELS를 판매하려는 유인이 감소함 에 따라 당분간 ELS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ELS 시장환경 변화는 증권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ELS를 중심으로 한 파생결합증권은 과거 증권사의 주요 자금조달 수단이자 수익원 역할을 하였다. 금융위기 이후 파생결합증권 조달을 통해 채권 규모를 확대하면서 증권사는 자기매매 및 투자은행 사업을 수월하게 확장할 수 있었다.
 

2019년 정점을 보였던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조달 규모의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개별 증권사는 주어진 여건을 고려하여 사업구조의 조정 및 유동성 관리 등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ELS 규모가 감소하면서 ELS 헤지 운용의 위험은 감소하겠지만, 예전처럼 증권사가 이 부문에서 많은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ELBㆍDLB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자금 운용의 중요성은 과거보다 커지게 되며, 발행 시 자금 비용을 무리해서 높게 사용하면 자금 운용 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증권사별로 적절한 영업전략 및 자금 비용의 설정과 위험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ELS 대신 ELBㆍDLB와 발행어음의 증가, 파생결합증권 운용자산 내에서 채권 비중의 증가와 여전채 비중의 감소 등을 고려해 볼 때, 최근 ELS 규모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증권사의 채권 규모나 여전채 시장이 받는 영향은 크지 않으리라 예상된다. 다만, 최근 채권시장 여건이 양호하게 유지되었던 점을 감안하면, ELS 시장 축소에 따른 채권시장 영향을 당분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

 

 

 

 

 

 

 

 

 

 

 

 

은행.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61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유럽연합, 제품 수리를 위한 공동규칙 5도토리 정한솔
76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연근무제로 인한 노동시장의 효과 13도토리 정한솔
76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계대출규제의 영향분석 13도토리 장민환
76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4, 엔데믹시대에 맞춰 의료기기 전략품목 변화와 시장분석 13도토리 장민환
761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속 가능한 IP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협력방안 모색 11도토리 노민우
761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전자IT산업의 우수 인력을 유치 하과자 국내 유학생 활용 방법 7도토리 노민우
76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교통관련 지역 개발사업의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보는 효과 제고 보고서 13도토리 노민우
760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 데이터 보고서, AI 허브와 해외플랫폼 현황을 비교분석 11도토리 강정훈
760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상용업체 조사서 13도토리 강정훈
76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국내외 경제 및 산업 파악하기 5도토리 강정훈
760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헝가리, 국별 신용도 평가 보고서 5도토리 강정훈
76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농촌 지역사회의 서비스 13도토리 강정훈
76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려동물 산업의 체계 진단및 실태파악 13도토리 강정훈
760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AI 규제 현황과 시사론점 5도토리 노민우
76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럽연합의 디지털플랫폼 규제현황과 논의점 5도토리 노민우
76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전자정부의 성과와 매뉴얼 개정안 13도토리 노민우
760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24년 상반기 글로벌 제약사 파이프라인 조사서 5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4년 ELS 시장환경 변화로 인한 증권업계 영향 7도토리 국준아
759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KISTI의 이슈브리프, 데이터의 변화 5도토리 국준아
75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상반기 중형조선산업 조사 5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