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미국 AI 행정명령과 이행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20
용량 11.3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미국 AI 행정명령과 이행현황.pdf 1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8-2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5 

AI 행정명령(2023.10.30.)의 주요 내용 및 이행 현황

 

개요
 

○ 미국 바이든-해리스 행정부는 책임있는 인공지능 혁신에 관한 포괄적 전략인 “안전‧보안 및 신뢰
    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관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Safe, Secure, and Trustworthy Artificial
    Intelligence)(이하, ‘AI 행정명령’)을 발함(‘23.10.30)1)
○ AI 행정명령은 각 ‘연방행정기관(대통령, 부통령, 대통령실, 15개 부처로 구성된 내각)2) 및 그 소속기관’(이하,
    ‘연방기관 등’)이 이행해야 하는 사항을 구체화하고 그 이행기간을 명시함에 따라, 연방기관 등은
     해당 기간에 맞추어 소관 사항을 이행 중

 

1. 목적‧원칙 및 개념 정의


○ (목적) 책임있는 인공지능의 사용은 우리가 속한 세계를 보다 번영되고, 생산적이며, 혁신적이고
    안전하게 하는 반면 위험*도 존재하므로, 위험을 경감함으로써 선(善)을 위해 인공지능을 사용하고
    인공지능의 잠재적 이익을 깨달을 수 있으므로 정부, 민간, 학계 및 시민사회 등 사회 전반의 노력 필요

 

* 사기‧차별‧편향 및 허위 정보, 일자리 상실, 근로자 권리의 박탈, 경쟁 제한, 국가안보에 대한 위험 등

 

- 바이든-해리스 행정부는 안전하고 책임있게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것에 가장 우선
  순위를 두고 있기에 연방정부 전체가 이를 이행할 수 있게 하고자 하며, 인공지능 역량이 발전
  하고 있는 속도를 고려할 때, 미국은 미국의 안보‧경계‧사회를 위해 앞장서야 함
- 인공지능은 사람이 인공지능 구축할 때 근거한 원칙‧데이터 및 이를 이용하는 사람(가치관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을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미국이 빠른 변화에 투쟁해 온 이유가 이상향 지향, 사회의 기반‧창의성‧다양성‧예의임을
 확신, 미국은 모두를 위해 정의‧보안‧기회에 인공지능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그 이상을 보유

 

○ (주요 개념의 정의)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사람이 정의한 목적을 위해 실제 또는 가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권고 또는 결정을 하는 기계 기반 시스템으로, 인공지능 시스템은 실제 또는 가상 환경을
   인식하기 위해 기계 또는 사람이 입력한 것을 이용하고, 자동화된 방법으로 모델에서 그러한
   인식을 도출하며, 정보 또는 조치 선택사항을 만들기 위해 모델 추론을 이용

 

 

 

 

 

 

 

---------------------------------------------------------------------------------------------------------------------------------------------------------

 

 

 

 

 

 

안전.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5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유통물류 통계 13도토리 장민환
75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필리핀의 국가신용도 평가 보고서 5도토리 장민환
75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지역별 소비 촉진 정책 연구와 우리 기업 영향력 11도토리 장민환
75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SW정의자동차의 기술과 행방및 시사 5도토리 장민환
75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디지털 안전의 중요성 7도토리 장민환
75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제2차 산업 규제정비 계획 수립을 향한 기획 연구자료 13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AI 행정명령과 이행현황 7도토리 노민우
758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KISTEP브리프 ESG혁신활동과 차기 기업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9도토리 노민우
75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러시아 경제 성장요인 분석과 전망 13도토리 노민우
75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치타 기업 현황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758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4 엔데믹 의료기기 품목과 시장분석 조사표 7도토리 정한솔
75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 KISTEP 유럽스코어보드 분석 자료 5도토리 정한솔
75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와 3분기 전망 7도토리 정한솔
758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구축형 연구개발사업 국내외 동향조사 및 시사점 발굴 3도토리 장민환
758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3차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장민환
758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4' 상반기 對 한국 수입규제동향과 전망 13도토리 장민환
75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2023년도 예비타당성조사) 13도토리 장민환
757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품목별로 분류한 ICT 시장과 스타트업 7도토리 강정훈
75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KITA 베이징지부 상반기 중국 경제무역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75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첨단패키징 선도 R&D 사업 1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