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음료류 시장파악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노민우 | 조회수 | 34 | |
---|---|---|---|---|---|---|
용량 | 27.86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음료류 시장파악.pdf | 27.8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08-20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 |
2024년, 소프트 음료 시장 규모 173억3000만 달러 전망
홍차, 허브차 등의 차 문화를 반영한 소프트 음료가 인기
시장 동향
인도네시아 소프트 음료 제조사들은 딜레마에 빠졌다. 현재 인도네시아 소프트 음료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요소는 '가성비'와 '건강'이다. 그러나 이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것은 쉽지 않다. 더욱 건강한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재료 사용, 깨끗한 공정, 양질의 영양 성분 첨가, 천연 재료 사용 비율 증가 등을 고려해야 하지만, 이는 생산비를 높여 가성비 좋은 제품을 만들기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전 세계 및 인도네시아를 휩쓸었던 코로나19 팬데믹은 인도네시아 소프트 음료 시장에도 큰 지각변동을 가져왔다. 2020년 경제 역성장을 맞이하며, 인도네시아 역시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기간 동안 장기간 경기 침체를 겪으며 많은 사람이 비즈니스를 폐업했고 실업자 수가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가격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등 상품 가격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졌다. 가격이 저렴하지 않은 제품들은 더 이상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려워졌다.
많은 사상자를 가져온 팬데믹은 건강을 인도네시아인들의 중요한 삶의 가치로 만들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 Data)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78%가 식음료 구매 시 건강과 웰빙을 최우선 고려 가치로 꼽는다고 한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많은 인도네시아 소비자에게 음식이 자극적으로 맛있거나 배를 채우는 수단이었다면, 이제는 건강하고 올바른 음식 섭취가 내 몸을 지키는 방법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 이에 인도네시아 소프트 음료 시장에서도 이러한 건강 트렌드의 일환으로 칼로리 제로, 설탕 제로 등 다양한 ‘제로’ 제품들이 인기를 끌었다. 또한, 향 첨가 제품이나 화학 원료로 합성된 음료보다는 천연 재료 함량 비율이 높은 소프트 음료 제품의 인기가 높아졌고, 당분이 많은 일반 소프트 음료보다는 탄산수, 차류 제품들이 인도네시아 소비자에게 더 선호됐다.
이러한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하며, 인도네시아 소프트 음료 시장은 꾸준히 성장세를 보인다. 글로벌 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인도네시아 소프트 음료 시장의 시장 규모는 173억3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그중 116억3000만 달러는 일반 가정에서, 57억 달러는 음식점, 바 등 영업점을 통해 소비될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2024년에는 인도네시아 1인당 GDP가 처음으로 5000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소비자들의 소프트 음료 구매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 상수도 수질이 좋지 못한 인도네시아에서는 과거부터 홍차, 허브차 등 끓인 차 종류를 일상생활 혹은 식사와 함께 먹어왔고, 이를 반영한 차 종류의 소프트 음료가 시장에서 인기를 얻으며 관련 제품들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스태티스타는 인도네시아 소프트 음료 시장이 '24년부터 '28년까지 연평균 3.76%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인도네시아의 음료 애호가들은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다양한 수입 음료를 즐기고 있으며 해외에서 직접 음료를 수입하는 편의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수입 음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수입 시장은 변동을 겪었는데, 2018년 약 4012만 달러로 시작해 2019년 3856만 달러로 감소하고, 2020년에는 2623만 달러로 계속 감소했다가 2021년에는 3459만 달러로 크게 반등했으며, 2022년에는 3923만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이어 비교적 안정적 추세를 보이다가, 2021년에 411만 달러로 눈에 띄게 증가한 후 2022년에는 378만 달러로 감소했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