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동향] 호주의 냉장 및 냉동기기 시장 현황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장민환 | 조회수 | 32 | |
---|---|---|---|---|---|---|
용량 | 42.23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동향] 호주의 냉장 및 냉동기기 시장 현황.pdf | 42.2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07-3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 |
2023년, 가계 지출 감소로 인한 냉장 가전제품 판매량 감소세
에너지 효율 냉장고에 대한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증가 추세
상품명 및 HS 코드
냉장고에 해당하는 HS 코드는 841810으로, 이는 냉장고 및 냉동고가 결합되어 별도의 문이 장착된 제품을 포함한다.
시장동향
2023년 호주의 냉장 가전제품 시장은 수요가 감소하면서 공급 대비 판매 가치가 하락했다. 유로모니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호주 냉장 가전제품 소매 판매량은 약 148만 2,000대로, 전년 대비 5.9% 감소했다. 호주 중앙은행의 연이은 금리인상으로 인한 호주인들 생활비 압박이 지속되면서, 4분기 기준 비필수품에 대한 가계 지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9% 감소했다. 더불어, 석탄 및 천연가스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호주 일부 주에서는 전기 요금이 19.6~25% 인상됐다. 생활비 압박이 지속되고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은 점점 냉장 가전제품의 에너지 등급과 효율성을 의식하게 됐다. 냉장고는 다른 가전 제품과 달리 24시간 내내 켜져 있는 전기 제품으로, 전체가구 에너지 소비의 약 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비용 및 요금을 낮추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 사항에 맞춘 에너지 효율적인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적인 냉장고의 수요는 정부 지원책의 주도로 이어지기도 했다. 퀸즐랜드 주는 지난 2023년 9월 4일부터 일정 기간 동안 에너지 효율 등급이 4성급 이상인 가전제품을 구입한 가구가 표준 소득 가구 혹은 저소득 가구에 해당하는 경우 리베이트를 받을 수 있는 지원책을 제공했다. 해당되는 가전 제품 품목에는 냉장고가 포함됐으며, 혜택이 종료되기까지 총 22,232대의 에너지 절약형 냉장고에 대해 리베이트가 제공됐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3년 기준 HS 코드 841810에 해당하는 호주 냉장 및 냉동기기 제품의 총 수입액은 4억 1,224만 달러로 전년 대비 17.5% 감소했다. 호주는 1978년부터 2016년까지 Westinghouse의 남호주 제조공장을 통해 냉장고를 제조했지만, 현재는 냉장고를 제조하고 있지 않으며 오븐과 같은 일부 제품만 제조하고 있다. 호주는 냉장 및 냉동기기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중국, 태국, 한국을 포함한 세 국가가 호주 냉장 및 냉동기기 시장의 91%를 점유하고 있다. 호주는 해당 제품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서 수입했으며, 그 규모는2억 1,148만 달러이다. 중국에는 Westinghouse, Fisher & Paykel, Hisense 등 주요 가전제품 브랜드의 제조공장이 있으며, 중국산 제품의 수입 비중은 51.3%로 나타났다. 태국은 중국을 이은 호주의 두 번째 주요 수입국으로 31.4%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호주는 태국으로부터 1억 2,946만 달러 규모의 해당 제품을 수입했으며, 삼성 및 LG의 태국법인은 냉장고를 포함한 일부 가전 제품 모델을 태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또한, Westinghouse, Fisher & Paykel, Sharp의 일부 냉장고 모델도 태국에서 생산중이다. 호주의 대한 수입 규모는 3,430만 달러로, 한국은 8.3%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호주의 3위 냉장 및 냉동기기 수입국에 자리잡고 있다. 이는 삼성의 광주 공장과 LG의 창원 공장에서 생산된 냉장고가 호주로 수입된 데 기인했다. 주요 세 수입국 모두 수입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호주 내 금리 인상으로 인한 생활비 및 가계 부담이 지속되면서 소비자 지출이 감소하여, 소매 물량이 크게 공급되지 못한 데 기인한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