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수출입 데이터로 보는 K-로보틱스 경쟁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김민성 | 조회수 | 44 | |
---|---|---|---|---|---|---|
용량 | 488.31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동향]수출입 데이터로 보는 K-로보틱스 경쟁력.pdf | 488.31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07-23 |
---|---|
출처 : | 증권사 |
페이지 수 : | 7 |
수출입 데이터에서 살펴보는 K-로보틱스 경쟁력
최근 글로벌 로보틱스 수출입 데이터에서 관찰되는 변화가 국내 업체들에게 앞으로 미칠 영향을 고민해보자
국내 2024년 6월 수출입 데이터 확정치가 발표되었다. 글로벌 로보틱스 시장 내 유의미한 수출입 동향을 찾아볼 수 있는 HS CODE는 847950 산업용 로봇이 있으며, 국내 로보틱스 시장 또한 동일하다. 2023년 기준 산업용 로봇을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약 19억 달러를 수출한 일본이며, 산업용 로봇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약 12.5억달러를 수입한 중국이다. 이와 같은 수출입 데이터는 여러 전통 산업용 로봇 업체를 바탕으로 오랜 기간 높은 로보틱스 시장 경쟁력을 보유한 일본, 그리고 공정 자동화를 위해 2010년대 들어 산업용 로봇을 많이 소비해온 중국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글로벌 로보틱스 시장의 구성과 궤를 같이 하는 모습이다.
다만 최근 들어 글로벌 로보틱스의 수출입 동향은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더해 국내 산업용 로봇 수출입 동향 또한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현재 국내 로보틱스 업체 중 유의미한 산업용 로봇 혹은 협동로봇 수출 물량이 발생하고 있는 상장 회사는 많지 않으며, 그 중에서도 두산로보틱스 정도가 유일하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많은 국내 로보틱스 업체들은 북미/유럽을 중심으로 한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하고 있는 등, 국내 로보틱스 산업 내 수출 비중은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글로벌 로보틱스 수출입 동향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변화, 그리고 이 과정 속에 국내 로보틱스 수출입 동향에 끼치는 몇몇 영향과 향후 전망을 짚어보고자 한다.
글로벌 로보틱스 수출입 동향의 첫 번째 변화: 일본의 수출 경쟁력 약화, 중국의 로봇굴기가 현실화
글로벌 로보틱스 수출입 동향의 첫 번째 변화는 일본 산업용 로봇 수출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2024월 5월 일본 산업용 로봇 수출액은 142.3억엔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5.9% 감소한 수준이다. 물론 일본의 주력 제품인 전통 산업용 로봇은 주요 제조업 CAEPX와 동행하고, 수주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사이클 산업의 성격이 강해, 단순히 업황이 둔화되었다고 일본 전통 산업용 로봇 산업의 펀더멘탈에 문제가 생겼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제로 일본 산업용 로봇 업황은 통상적으로 2년을 주기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왔다. 하지만 2022년 들어 시작된 업황 둔화세는 2년 넘게 좀처럼 상승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전년 대비 하락폭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 일본 로보틱스 산업을 둘러싼 내외부 환경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 큰 배경은 중국 산업용 로봇 로컬 업체의 등장에 따른 중국향 수출 금액의 감소이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