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SMT(Surface Mount System) 장비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31
용량 40.4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SMT(Surface Mount System) 장비 분석 .pdf 40.4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7-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중국 SMT 시장 점유율 전 세계 40% 차지

 

한국 SMT 장비의 2023년 대중국 수출 1억3000만 달러로 3위

자동차 전장, 산업제어, 고밀도 SiP 패키징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주목 필요

 

중국 SMT 장비 시장 현황

 

SMT(Surface Mount System)라고도 알려진 실장* 기기는 반도체 실장 공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장비이며, 광전자 장치, 저장 장치, Logic,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부문에서 널리 응용된다.

* 실장(Mounting): 기기 혹은 부품을 기판 또는 가대 등에 부착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

 

SMT 장비는 고정되는 부품에 따라 IC 장비, Discrete 장비 및 LED 장비로 세분된다. 2023년 이 장비의 중국 내에서 응용 분야 비중은 LED(22%), Logic(21%), Discrete(15%), 광전자공학(15%) 등이다.

 

중국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함께 SMT 장비에 대한 시장 수요 역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중국 SMT 장비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40%로 세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시장으로 볼 수 있다. 2023년 기준, 중국 SMT 장비의 시장 규모는 21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 소폭 증가했다.

 

중국의 SMT 장비 수요는 주로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등 전자 산업이 발달한 지역에 집중돼 있다. 지역별로 보면 화동(32%)과 화남(30%)이 전체 시장의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화북(17%), 화중 (7%), 서남부(5%), 동북(5%), 서북부(4%) 순으로 시장이 분포돼 있다.

 

중국의 SMT 장비 수입량은 2016~2021년간 증감을 거듭하다 2021년에 정점에 도달했다. 하지만 이후 글로벌 경기 둔화, 전자제품 제조업의 동남아시아 이전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감소세를 보였다. 2023년 중국의 SMT 장비 수입액은 12억8000만 달러로 2022년 대비 37% 감소했지만, 중국은 여전한 세계 최대 SMT 장비 수입국이다.

 

일본, 말레이시아, 한국 및 독일은 중국 SMT 장비의 주요 수입국으로 4개국의 SMT 장비는 중국 전체 수입액의 95.6%를 차지한다. 일본은 최대 수입 대상국으로 2023년 중국은 8억3000만 달러(64.6%)를 일본에서 수입했다. 2023년 한국 SMT 장비의 중국 수출액은 1억3000만 달러로 10.3%를 차지해 중국의 수입 대상국 중 3위를 차지했다.

 

 

 

 

--------------------------------------------------------------------------------------------------------------------------------------------------------

 

 

 

SMT 표자료.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5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치타 기업 현황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758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4 엔데믹 의료기기 품목과 시장분석 조사표 7도토리 정한솔
75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 KISTEP 유럽스코어보드 분석 자료 5도토리 정한솔
75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와 3분기 전망 7도토리 정한솔
758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구축형 연구개발사업 국내외 동향조사 및 시사점 발굴 3도토리 장민환
758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3차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장민환
758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4' 상반기 對 한국 수입규제동향과 전망 13도토리 장민환
75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2023년도 예비타당성조사) 13도토리 장민환
757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품목별로 분류한 ICT 시장과 스타트업 7도토리 강정훈
75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KITA 베이징지부 상반기 중국 경제무역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75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첨단패키징 선도 R&D 사업 11도토리 장민환
75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탄소중립기술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기술사업 13도토리 노민우
75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럽연합(EU) 인공지능법 주요내용 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75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산업재산 데이터 분석 조사서 13도토리 노민우
75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과 유럽연합의 AI 영향평가 및 정책현황 5도토리 노민우
75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중심으로본 특허분쟁 동향 조사서 13도토리 노민우
75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과 생태계 구축사업 13도토리 노민우
75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SC 지원방안 보고서 7도토리 노민우
75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해외 주요국가의 AI 규제 거버넌스 현황 조사서 7도토리 노민우
75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K-Beauty 경쟁력과 4차 산업 분야의 활용방안 조사서 5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