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024년 네덜란드의 수소 전략과 프로젝트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34
용량 1.94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024년 네덜란드의 수소 전략과 프로젝트 현황.pdf 1.9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7-1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57 

요 약

 

I. EU 수소 정책

 

1. 배경 및 동향


1) EU의 수소 프로젝트 투자 확대


EU는 2050년 탄소 중립 목표에 달성하기 위해 수소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투자와 전략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현재 EU 차원에서 수소 파이프라인, 충전소, 저장시설 건설과 같은 인프라 구축을 다룬 수소 프로젝트도 이뤄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유럽 수소 파이프라인 프로젝트(European Hydrogen Backbone)는 유럽 전역에 걸쳐 전용 수소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불어 수소의 대규모 생산, 유통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로테르담과 암스테르담 항구, 그리고 림부르흐의 Chemelot 클러스터 등이 수소 허브로 전환되고 있다. EU 경제회복기금(EU Recovery and Resilience Facility)을 통해 수소 관련 프로젝트에 수십억 유로를 할당하였고, 혁신적인 수소 기술 개발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2) 수소 생산 비용 절감


전기분해의 혁신으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 절감 등 기술 발전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고효율, 저비용 전해조는 그린수소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운송 분야, 산업 부문 등 수소 생산은 점점 더 다양한 분야에서 절감되고 있다.


3) 경제적 인센티브 확대


EU는 수소와 관련한 보조금과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정책적 규제를 도입하여 수소 경제를 촉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EU는 유럽 혁신 기금(European Innovation Fund)을 통해 그린수소 생산 및 관련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여 초기 투자 비용을 줄여주며, 수소 인프라에 투자하는 기업에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EU 배출권 거래제(EU Emissions Trading System, ETS)는 기업들이 탄소 배출권을 경매로 구매하는 매커니즘으로, 그린수소 등의 저탄소 연료 사용을 하도록 강력한 동기를 부여한다.

 

 

 

-----------------------------------------------------------------------------------------------------------------------------------------------------

 

 

 

네덜란드 수소.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5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 KISTEP 유럽스코어보드 분석 자료 5도토리 정한솔
75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와 3분기 전망 7도토리 정한솔
758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구축형 연구개발사업 국내외 동향조사 및 시사점 발굴 3도토리 장민환
758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3차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장민환
758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4' 상반기 對 한국 수입규제동향과 전망 13도토리 장민환
75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2023년도 예비타당성조사) 13도토리 장민환
757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품목별로 분류한 ICT 시장과 스타트업 7도토리 강정훈
75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KITA 베이징지부 상반기 중국 경제무역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75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첨단패키징 선도 R&D 사업 11도토리 장민환
75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탄소중립기술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기술사업 13도토리 노민우
75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럽연합(EU) 인공지능법 주요내용 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75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산업재산 데이터 분석 조사서 13도토리 노민우
75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과 유럽연합의 AI 영향평가 및 정책현황 5도토리 노민우
75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중심으로본 특허분쟁 동향 조사서 13도토리 노민우
75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과 생태계 구축사업 13도토리 노민우
75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SC 지원방안 보고서 7도토리 노민우
75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해외 주요국가의 AI 규제 거버넌스 현황 조사서 7도토리 노민우
75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K-Beauty 경쟁력과 4차 산업 분야의 활용방안 조사서 5도토리 박민혁
75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가전략 기초연구의 제고 방안 조사 11도토리 박민혁
75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싱가포르 에너지전환동향과 전망 7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