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오디오 포렌식 AI 기술 적용의 이해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13
용량 1.75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오디오 포렌식 AI 기술 적용의 이해.pdf 1.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7-1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5 

I. 서론


스마트폰과 음성인식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녹음은 오늘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법정 증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 오디오 편집 도구의 확산으로 일반인들도 정교한 음성 파일의 편집이 가능해졌고, 진위 판별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디오 포렌식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닐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오디오 파일 위변조 기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기존의 오디오 포렌식 기법을 소개하고, 저자의 연구실 숭실대학교 AI Design Lab에서 최근 수행한 오디오 파일 위변조 검출을 위한 딥러닝 모델 구축 사례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적용 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에서는 오디오 포렌식의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상화되고 음성인식 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녹음은 회의, 타인과의 대화, 개인적인 기록뿐만 아니라 범죄와 관련된 증거 수집을 위한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녹음 파일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녹음 앱을 통해 간단한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빠르게 편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동영상 플랫폼의 확산으로 인해 어도비 오디션(Adobe Audition)과 같은 전문 오디오 편집 도구를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 더욱이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플랫폼의 확산으로 위변조를 위한 오디오 편집 전문가를 구하기 용이해졌고, 최근에는 딥 보이스(Deep Voice) 소프트웨어와 딥페이크(deepfake) 오디오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로 생성된 정교한 음성 합성 기술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정교한 음성 파일의 편집이 가능해졌고, 진위 판별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참과 거짓을 구분하기 어려워진 오늘날, 음성 파일이 법정 증거로 제출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위변조를 주장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3]. 이에 따라 법정에서 증거 능력이 있는 음성 녹음의 취득, 분석, 평가와 관련된 오디오 포렌식(audio forensic)은 중요한 법 과학(forensic science)의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4]. 하지만 정교하게 편집된 음성 파일의 경우 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러한 상황에서 음성 파일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감정사들은 음성파일의 구조, 메타데이터(metadata), 해시값(hash value) 등의 객관적인 분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음성 파일의 구조와 메타데이터는 스마트폰의 모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녹음 앱(app)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증거로 사용된 동일한 스마트폰을 가지고 테스트 오디오 파일을 만들어 비교 분석을 통해 진위 여부를 판별한다. 이에 재판부는 대법원 판례를 인용하여 “녹음파일 사본에 편집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고,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의 파일정보와 녹음주파수대역이 위 디지털 녹음기로 생성한 파일의 그것들과 같다”라는 근거로 위변조가 없는 것으로 판결하고 있다[6][7].

 

 

 

-------------------------------------------------------------------------------------------------------------------------------------------------------

 

 

 

오디오포렌식.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5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바이오경제를 위한 노력 5도토리 장민환
735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엔 플라스틱 협약의 주요쟁점 분석 및 대응방향 연구 13도토리 장민환
735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한국-걸프협력회의(GCC) FTA 타결에 따른 수출 유망 품목 및 협력 기회 13도토리 노민우
7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에너지 절약과 탄소 감축 계획 5도토리 노민우
73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 분야 - 테슬라의 배터리 내재화 속내 들여다보기 5도토리 노민우
7354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3분기 이후 반도체 산업 및 시장 전망 5도토리 노민우
73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더 나은 사회를 여는 디지털 혁신 7도토리 노민우
7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의 가상현실 활용 분야 확대 3도토리 노민우
7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수급 기본계획(인공지능과 원자력) 5도토리 노민우
735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제약 바이오 전망 - 진정한 모멘텀을 찾아서 13도토리 노민우
73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올 한 해 결실을 맺는 인터넷게임 분야 7도토리 노민우
7348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식량정책 개선방안 연구 13도토리 국준아
7347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인구 변화에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정책 방향 9도토리 국준아
73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OECD [변혁적 과학기술 혁신 정책 아젠다]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5도토리 국준아
73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13도토리 국준아
73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 - 기약이 없는 희망 고문 7도토리 국준아
7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양극,음극 소재와 원료에 대한 공급망 이슈 5도토리 국준아
73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신흥국의 재생에너지 산업 13도토리 국준아
73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내 경량금속소재 기술개발 동향 7도토리 국준아
7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가스 정제용 세라믹 원료 소재 공급망 및 개발동향 5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