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2024년 상반기 산업 입지 정책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95
용량 651.4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2024년 상반기 산업 입지 정책동향.pdf 651.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7-1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 

Ⅰ. 산업단지 동향


1 산업단지 개발 현황


□ 전국 산업단지 유형별 조성 현황


ㅇ 2023년 12월말 기준, 전국 산업단지는 총 1,306개 지정. 총 1,448,201천㎡ 면적 가운데 공급대상면적은 59.2%(856,992천

    ㎡) 차지
ㅇ 단지 수 기준으로 일반단지(731개), 농공단지(481개)가 많지만, 지정 면적은 국가단지, 일반단지 순으로 넓음. 단지 수 대비 지정

    면적은 농공단지(162천㎡)가 제일 작음. 전체 공급대상면적은 일반단지, 국가단지, 농공단지 순으로 규모가 큼

 

□ 지역별 산업단지 개발 현황


ㅇ 단지 수로는 경상남도가 209개로 가장 많고, 경기도 193개, 충청남도 175개, 경상북도 154개 순
ㅇ 지정면적 기준으로 경기도가 250,647천㎡으로 가장 넓으며, 전라남도 229,614천㎡, 경상남도 140,453천㎡, 경상북도  39,264

    천㎡ 순으로 넓음. 개발미대상 부지 면적*은 전라남도가 91,254천㎡로 가장 넓음

ㅇ 시도별 산업단지 개발비율은 대전광역시가 98.3%로 가장 높고, 제주도(65.5%), 세종시(69.4%), 경기도(70.6%), 충청북도

    (79.0%), 경상남도(79.7%) 등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개발비율이 낮은 산업단지는 최근 신규 산업단지로 지정된 지역이 많으며, 세종시(세종스마트국가단지), 경기도(H-테크노밸리일

    반산업단지, 제2용인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 학운3-1일반산업단지), 충청북도(충주바이오헬스국가산업단지, 진천스마트복합

    산업단지, 진천메가폴리스산업단지,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2)산업단지, 옥천제2농공단지) 등이 이에 해당

 

 

 

------------------------------------------------------------------------------------------------------------------------------------------------------

 

 

 

산업입지.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5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디지털트윈 아카이브 설계기술 5도토리 이지훈
7538 성장동력산업 [연구동향] 디지털 역량 격차 측정에 관한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이지훈
75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상반기 농업 재생에너지 산업 및 정책 13도토리 이지훈
753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배양육 소재 및 인프라 동향 5도토리 이지훈
7535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나노기술 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5도토리 정한솔
75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정보통신기술 인력동향 실태조사 13도토리 정한솔
7533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한국·일본의 무형유산 연구 III 13도토리 정한솔
75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 기반 비정상 데이터 복원 기술 5도토리 강정훈
7531 성장동력산업 [통계분석] 2023년 국제 인구 이동 통계 9도토리 강정훈
753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테네시 주의 초상‧음성‧이미지 보호 보장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3도토리 강정훈
75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에코디자인 규정 발효에 따른 시사점 및 대응방안 7도토리 강정훈
7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고성장 인공지능 분야 초격차 스타트업 전략 육성 5도토리 강정훈
7527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 지원 전략 5도토리 강정훈
752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응용 분야 확대와 함께 성장 중인 중국의 탄소섬유 산업 3도토리 강정훈
752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오디오 포렌식 AI 기술 적용의 이해 5도토리 강정훈
752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실사 인물 발화 영상 생성 프레임워크 기술 5도토리 강정훈
7523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4년 2분기 외국인투자 관련 환경정책 동향 7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4년 상반기 산업 입지 정책동향 5도토리 강정훈
752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제6차 디지털혁신기술국제공동연구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강정훈
752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하반기 방송통신정책연구 7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