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중국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전환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32
용량 41.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중국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전환 현황.pdf 41.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철강산업 탄소배출량 전체 15%로, 탄소중립 달성의 주요 과제

중국 기업 대부분 전기로, 수소 기반 기술에 집중

철스크랩 자원 및 그린수소 확보도 탄소중립 달성 위한 중요 과제

 

중국 철강 업계 탄소중립 전환 필요성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철강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전세계 철강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통계국에 의하면 2023년 중국 철강생산량은 13.62억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5.2% 성장했다. 중국 야금공업정보표준연구원의 장룽창(张龙强)원장은 2024년 중국 철강수요가 2023년과 거의 동일하거나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 분야의 철강 수요는 여전히 감소하지만 인프라, 신에너지차, 신에너지설비, 조선 등 분야의 철강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중국 정부에서 노후한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이구환신(以旧换新)'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철강수요가 약 1,400만톤 이상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기도 했다.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2020년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감소했으나 중국 정부의 정책적인 움직임으로 수요 및 생산량은 일정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탄소중립을 주요 정책목표로 삼은 중국의 입장에서 철강 산업의 친환경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다. 2022년 기준 중국 철강 산업의 탄소 배출량은 약 18억 2,300만 톤으로 중국 전체 탄소배출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탄소절감에 대한 전 세계적인 움직임도 중국 철강업계의 저 탄소 환, 친환경 전환의 주요 원인이다. EU는 2026년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발표했다. 탄소국경조정제도는 Fit for 55* 패키지의 일환으로, 탄소배출량 감축 규제가 강한 국가에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국가로 탄소배출이 이전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CBAM은 2023년 5월 16일 공식 발효되었으며, 2023년 10월 1일부터 전환기간이 시작되었다. EU 역내 수입업자들은 CBAM 대상 제품의 탄소배출 정보를 수집하여 2024년 1월 31일까지 당국에 수입량과 배출총량을 보고하여야 한다. CBAM 대상 품목은 시멘트, 순철 및 강철(Iron &S teel), 알루미늄, 비료, 전기, 수소가 해당되며 이후 유기화학제품 플라스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탄소국경제도가 시행되면 2026년부터는 EU 역외에서 수입된 제품의 탄소배출량이 역내 생산 동일 제품에 비해 배출량이 많다면 초과분에 대해서는 인증서 구매를 통해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인증서 가격은 EU ETS 주간 평균가를 참고하여 변동성 있게 결정하게 된다. 본격 시행기인 2026년부터는 인증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미납 인증서당 100유로의 벌금이 부과된다. 전환기간인 2023년 10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는 별도의 인증서 구입 부담은 없으나, 보고서가 없거나 관련 의무가 준수되지 않을 경우 톤당 10~50유로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영국과 미국도 유사한 환경 규제 도입을 검토 중에 있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고 있는 중국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

 

 

 

--------------------------------------------------------------------------------------------------------------------------------------------------------

 

 

 

중국 철강업계.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2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럽연합의 디지털플랫폼 규제현황과 논의점 5도토리 노민우
92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서울 AI 정상회의의 주요성과와 논의점 5도토리 노민우
92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전자정부의 성과와 매뉴얼 개정안 13도토리 노민우
9251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24년 상반기 글로벌 제약사 파이프라인 조사서 5도토리 노민우
92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폴란드, e-모빌리티가 일상화되는 현황 3도토리 노민우
92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세계 두 번째 차 생산국가, 인도, 한국 차 진출 전략 살펴보기 3도토리 국준아
92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불가리아는 현재 한국 화장품이 유행 3도토리 국준아
92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피부 건강의 인식개선으로 스페인, 내 선크림 수요 급증 3도토리 국준아
92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나이지리아 미용 시장의 유행은 현재 K뷰티가 유행 3도토리 국준아
92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UAE 식품업계, 지속 성장 가능성으로 확장 3도토리 국준아
92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프랑스, 화장품 시장의 현황 3도토리 국준아
924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영국, 프로젝터용 렌즈[LENS] 시장의 성장 3도토리 국준아
924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체코, 식문화의 변화, K 소비재의 주목 3도토리 국준아
924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슬로바키아, 뷰티시장의 현황 3도토리 국준아
924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네덜란드, 히트펌프의 발전 3도토리 국준아
923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그리스, 조선업계 BWTS의 발전 3도토리 국준아
923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4년 ELS 시장환경 변화로 인한 증권업계 영향 7도토리 국준아
92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제2의 하이테크 에너지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스라엘의 기술 3도토리 국준아
92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본, AI 규제시작, 일본 기업들의 반응 3도토리 국준아
92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도, 우주산업의 발전 현황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