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20
용량 545.79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pdf 545.7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 액체금속기반 신축성 전극이란?


ㅇ 액체금속이란 녹는점이 낮아 상온에서도 액체상을 유지하는 금속 물질임. 단일원소 기반 액체금속에는 수은, 세슘 등이 있으며,

    갈륨-인듐 Eutectic 합금과 같은 갈륨 기반 합금 등도 상온에서 액체상을 보임. 특히, 갈륨 기반 액체금속은 높은 전기전도도

    (34,000 S/cm)와 상온에서 무한의 변형률을 갖기 때문에 최근 신축성 전극 물질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음. 대부분의 액체금속은

    중금속 기반이기 때문에 생체 안정성 문제를 가지지만 갈륨 기반의 액체금속의 경우 우수한 생체 안정성을 보여 갈륨 기반의 액체

    금속 물질만이 신축성 전극 소재로 연구되고 있음.

 

 * 액체금속을 신축성 전극으로써 전자기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체금속의 흐름 현상을 제어할 기술이 필요함. 간단하게는

    Microfluidic 채널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실제 전자기기로의 적용은 어려움을 갖고 있음. 따라서 최근에는 액체금속을 입자화하여

    탄성 고분자와 복합화 하는 전략이 주로 연구되고 있음.
 * 액체금속 입자는 표면 산화막의 자발적 생성을 통해 구조가 유지가 됨. 산화막은 절연특성을 갖고 정전기적 반발력을 유도하여

    탄성 고분자와 복합화 할 경우 낮은 전기전도도를 보이는 문제를 갖고 있음. 현재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분야의 연구 개발은

   주로 전기전도도 개선 및 기계적 안정성 개선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웨어러블 전자소자,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소프트 로보틱스, 체내 삽입형 전자소자 등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우수한 신축성 및 전기적 성질을 갖는 신축성 전자기기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신축성 전자기기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자부품/센서/디스플레이 등의 전기적 소통을 담당하는 신축성 전극 소재의 개발이 필수적임. 지난 10년간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해 다양한 신축성 전극 소재(전도성 고분자, 고분자 나노복합체 등)가 개발되고 제안되었음. 기존 유연 전극 수준의 전기전도도와 높은 신축성 확보는 가능하지만 신축 과정에서의 저항 변화가 동반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음. 이런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연구진들은 상온에서 형태가 자유로운 액체 상의 금속(액체금속) 물질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음. 액체금속 물질 중에서는 갈륨 기반의 액체금속이 높은 전기전도도와 낮은 녹는점으로 신축성 전극 소재로 가장 주목 받고 있음.

 

 

 

--------------------------------------------------------------------------------------------------------------------------------------------------------

 

 

 

액체금속 기반.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1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미진단 희귀 유전성 심근병증 메틸레이션 데이터 생산 5도토리 국준아
711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로봇산업 규제혁신 과제 발굴을 위한 민관협의체 운영 7도토리 국준아
711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내환경검증 DB현황 조사 및 기술심사 체크리스트 개발 7도토리 국준아
711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국내의료기관 항생제 적정사용관리 활성화를위한 지역의료기관간 네트워크모형개발 5도토리 국준아
711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WHO-PQ 인증을 위한 체외진단의료기기 임상적 성능시험 기술지원 5도토리 국준아
711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ICT RnD 연구개발성과 기술실시 현황 및 사용 실적 조사 7도토리 국준아
711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6년 그린 ODA 신규사업 기획 7도토리 국준아
711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폐자원에너지 회수통계 조사 및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11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한의약산업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용역 9도토리 국준아
711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용역 제안 요청서 7도토리 국준아
710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글로벌 데이터산업 동향정보 제공 용역 7도토리 국준아
710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안전 AI서비스 플랫폼 구현방안 기획연구 7도토리 전아람
710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중장기 에너지부문 온실가스 평가모델 개발 및 감축잠재량 분석 7도토리 전아람
710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의약품 품질관리 시험법의 분석 설계기반 품질고도화 기법(AQbD) 활용 연구 5도토리 전아람
710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신기술 적용 식품원료 인정현황 조사 및 평가방법 개선 연구 5도토리 전아람
710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궁·능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드론 모니터링 용역 7도토리 전아람
710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국가 희귀특산식물 DB화 및 영상자료 확보 7도토리 전아람
710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고위험병원체 등 병원체 관련 법령 정비 방안 마련 연구 7도토리 전아람
710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K-드론 기업 정보 조사 및 Korea Drone Industry Book 제작 위탁용역 9도토리 전아람
710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AI 융합인력양성사업 성과분석 및 과제 발굴 용역 7도토리 전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