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98
용량 644.36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pdf 644.3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 

1 동료 평가와 편향


○ 동료 평가(peer review)는 지금도 논문 출판, 연구비 지급 등을 결정하는 주된 평가 방식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음.
   - 학술 생태계가 디지털 시스템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지만 대다수 연구자들은 여전히 동료 평가를 가장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1),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연구비 배분을 결정하는 데에도 동료 평가를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꼽는 응답이 많았음.2)


○ 그럼에도 동료 평가는 성별(gender), 인종(ethnicity), 지역(country) 등과 관련하여 평가자가 무의식적으로 갖는 편향

    (unconscious bias) 때문에 늘 효용성 논란에 휩싸여 왔음.3)
   - 무의식적 편향은 잘 드러나지 않기에 해결도 쉽지 않음. 일례로 평가자들이 연구 보조금 신청자의 성별을 모르더라도 제안서에

     드러난 남녀의 서로 다른 언어 사용 방식에 영향을 받아 성별 편향이 작용할 수 있음.4)

 

○ 무엇보다 권위(prestige), 평판(reputation) 등에 따른 편향은 여러 연구를 통해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지금까지도 해결에 큰

    난항을 겪고 있음.
   - 노벨상 수상자와 무명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집필한 원고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교신저자로 표시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평가자로부터 게재 거부 권고를 훨씬 더 적게 받았고, 평가도 훨씬 더 호의적이었음.5)
   - 평가자들은 권위 있는 저자의 이름과 기관이 공개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게재 승인을 권장할 가능성이 더 높았음.6)

 

○ 위와 같은 편향 문제로 인하여 신진 연구자의 참신한 연구가 학술 출판뿐만 아니라 연구보조금 수혜에서도 불이익을 입고 있다는

    우려가 설득력을 얻고 있음.
   - 스위스의 공공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에서 신진 과학자는 중견 과학자보다 연구비를 신청할 가능성이 더 높음에도 평가자로부터

     평균적으로 더 낮게 평가받고 수혜 가능성도 그만큼 더 낮다는 사실이 발견됨.7)
   - 연구자 4,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약 절반 정도가 신진 연구자의 연구 제안이 중견 연구자의 연구 제안만큼

     객관적으로 평가받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음.8)
   - 참고로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지만, 어떤 분야에서 저명한 연구자가 예기치 않게 사망하면 그와 자주 협력한 동료 또는 후배의

     출판물은 갑자기 감소한 반면, 새로 입문한 연구자의 출판물은 눈에 띄게 증가하였음.9)

 

 

 

-----------------------------------------------------------------------------------------------------------------------------------------------------

 

 

 

연구비지원.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435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360도 영상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용 4K급 190도 광학모듈 개발 3도토리 오민아
743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4 Hz급 이동반사경 조립체를 이용한 TIC 감지용 소형 분광유닛 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743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미래 국방 가교기술 개발사업 신규과제 재공고 3도토리 오민아
743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4차 바이오분야 연구개발사업 5도토리 오민아
74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이탈리아의 체외진단기기 시장현황 및 인허가제도 9도토리 류지원
743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국내외 바이오·의약산업 투자동향 및 전망 3도토리 류지원
742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2023년 과학기술 연감 13도토리 류지원
742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보스턴 바이오텍과 신약 개발 현황 5도토리 류지원
74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본의 로봇 시장·기술 동향과 로봇 인재 육성 방안 7도토리 류지원
742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과학기술 공공연구조직의 연구행정 효율성 5도토리 류지원
742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사회규범 - 새로운 사회계약과 디지털 권리장전 5도토리 류지원
7424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VR Agent 외국어 교사를 활용한 학습의 몰입 융합 효과 7도토리 류지원
7423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챗GPT는 우리에게 어떤 우려를 초래하는가 7도토리 류지원
742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스페인 원자력발전전 정책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류지원
74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약품 개발 시 AI 활용 안내 7도토리 박민혁
7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웨어러블 전자소자용 고분자소재 5도토리 박민혁
741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 5도토리 박민혁
7418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분석] 줄기세포의 근육분화를 통한 배양육 연구 5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 5도토리 박민혁
74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정부·민간 분야 인공지능 투자 동향 분석 1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