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공간 컴퓨팅 산업·시장 및 정책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38
용량 6.02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공간 컴퓨팅 산업·시장 및 정책동향.pdf 6.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2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2 

1. 공간 컴퓨팅 개념

 

■ (정의) 일반적인 화면에 제한되지 않고 물리적 주변 환경과 실제 세계, 신체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중 하나이며, 디지털로 이뤄진 컴퓨터 속 가상 세계와 아날로그 현실 세계로 상호 공간을 확장·연결하는 컴퓨팅 기술1)
  - 공간 컴퓨팅은 MIT 미디어랩의 사이먼 그린월드(Simon Greenwold)가 2003년에 발표한 논문2)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디지털 정보를 물리적 공간에 통합하고 그 정보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컴퓨팅 형태를 말함
  - 공간 컴퓨팅은 가상과 현실을 혼합한 연산(Computation)으로 물리적 세계와 이상적인 세계의 경계를 허물게 함3)
  - ‘공간 컴퓨터’는 물리적 하드웨어를 의미하고 ‘공간 컴퓨팅’은 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행위나 과정을 의미
  - ‘공간 컴퓨팅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공간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추적 정보를 사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실제 세계에

    오버레이하여 증강하는 방식으로 구현4)


■ (용어) 공간 컴퓨팅은 확장 현실(XR: eXtended Reality), 몰입형 기술(Immersive Technology)과 같은 동의어로도 사용

  - 공간 컴퓨팅은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혼합 현실(MR) 등의 기술을 모두 포괄하며 스마트폰 이후 시대의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을 위한 주요 기술 매체가 될 것으로 전망

  - 공간 컴퓨팅과 XR은 현실과 디지털 세계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나, 공간 컴퓨팅은 실제 세계의 공간을 디지털

    적으로 모델링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에 XR은 현실 세계에 가상적인 요소를 추가하거나 현실을 모방하는

    디지털 환경을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둠

 

■ (특징) ➊(몰입감) 사용자가 특정 활동이나 경험에 디지털 세계와 현실 세계를 구분하지 못하고 실감 나는 경험 제공 ➋(상호

    작용성) 사용자가 제스처, 손, 목소리 등을 사용하여 디지털 객체 즉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 ➌(맥락 인식) 사용자의

    위치, 주변 환경 및 활동을 인식,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개인화되고 관련성 있는 경험을 제공


■ (역할) 공간 컴퓨팅은 ➊현실 세계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실제 형태와 공간을 다루고 ➋이러한 가상 공간이 실제 장소와 의미

    있는 연결을 갖도록 하며 ➌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허물고 두 세계를 통합할 수 있도록 함6)

 

 

 

------------------------------------------------------------------------------------------------------------------------------------------------------

 

 

 

공간컴퓨팅.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웨어러블 전자소자용 고분자소재 5도토리 박민혁
741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 5도토리 박민혁
7418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분석] 줄기세포의 근육분화를 통한 배양육 연구 5도토리 박민혁
74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 5도토리 박민혁
74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정부·민간 분야 인공지능 투자 동향 분석 11도토리 박민혁
7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부 이슈와 주요 과제 9도토리 박민혁
741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디지털정부 평가모델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박민혁
7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2차전지 최근 기술 및 특허 동향 7도토리 박민혁
74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하반기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3도토리 김민성
74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자동차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2차전지 전해질 개발용 인공지능 시뮬레이터 기술 5도토리 김민성
74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정책·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간 컴퓨팅 산업·시장 및 정책동향 7도토리 나혜선
740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연구] 2023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 자료집 13도토리 나혜선
7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소비재 수출 동향 분석 9도토리 나혜선
74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미국투자 실무 가이드 13도토리 나혜선
7402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미국 정보통신혁신재단, 미국 차기 행정부를 위한 기술-경제 분야의 의제 권고 및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7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1Q 바이오헬스케어 상장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