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구리 시장의 중요한 분기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07
용량 1.54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구리 시장의 중요한 분기점.pdf 1.5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2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3 

한달 간의 가격 조정


구리 가격은 2월부터의 상승분 50% 반납. 2월 톤당 $8,130 의 저점에서 5월 톤당 $11,100 의 고점을 기록 후 6월 17~18일 장중 $9,600 을 하회 . 지난 5월 연초 대비 30%, 저점 대비 36%의 가격 급등 후 , 투기적 과매수에 따른 가격 조정이 시작됨 가격의 분기점은 5월 COMEX 거래소의 숏스퀴즈 사건 24. 5. 17 [ 구리 미국에서부터의 급등])

 

구리 가격의 급등은 3월 중국 제련기업들의 감산 합의에서 시작되었음 작년 11월부터 금년 1분기까지 주요 구리 광산에서의 공급 차질 및 생산 하향에 따라 중국 내 제련 수수료가 급락했고 , 결국 제련업체들은 2분기 감산에 돌입 그러나 4월까지 중국의 전기동 생산은 전년대비 10% 이상 증가하는 등 아직 감산의 여파를 실감할 수 없는 상황

 

그림 2] 에서와 같이 중국의 구리 원광 수입은 주요 광산의 생산 감소에 따라 감소 추세를 나타냄 그러나 스크랩 수입이 증가하며 원광의 부족을 다소 완화 시켜주고 있음 .과거 2020 년 코로나 사태 때도 원광 수입이 급감했으나 스크랩 수입이 급증하며 어느 정도 상쇄시킨 바 있음

 

한편 구리 가격이 약 3달간 30% 이상 급등하며 , 중국의 구리제품 생산은 확연히 둔화중 . 가격급등에 따라 최종 수요자들의 주문이 감소 혹은 지연되며 구리제품 생산도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

 

 

 

구리시장.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부 이슈와 주요 과제 9도토리 박민혁
741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디지털정부 평가모델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박민혁
7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2차전지 최근 기술 및 특허 동향 7도토리 박민혁
74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하반기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3도토리 김민성
74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자동차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2차전지 전해질 개발용 인공지능 시뮬레이터 기술 5도토리 김민성
74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정책·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74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간 컴퓨팅 산업·시장 및 정책동향 7도토리 나혜선
740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연구] 2023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 자료집 13도토리 나혜선
7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소비재 수출 동향 분석 9도토리 나혜선
74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미국투자 실무 가이드 13도토리 나혜선
7402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미국 정보통신혁신재단, 미국 차기 행정부를 위한 기술-경제 분야의 의제 권고 및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7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1Q 바이오헬스케어 상장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740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정책 및 기술동향 11도토리 민준석
73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수출입 전망 11도토리 민준석
739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3년 국가표준백서 13도토리 민준석
7397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4년 투자금융 ESG 가이드북 13도토리 민준석
»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구리 시장의 중요한 분기점 5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