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전기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34
용량 730.02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전기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pdf 730.0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5-3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 

1 전기활성 미생물(Electroactive microorganisms, EM)이란?


ㅇ 전기활성 미생물은 주변 미생물 혹은 전도성을 가진 전극 표면과 전자를 주고받을 수 있는 미생물로, 대사 작용과 관련한 ‘생화학적’ 현상과 전자의 흐름으로 대표되는 ‘전기적’ 현상을 연결 짓는 매개체이자 촉매로 여겨지고 있음.


ㅇ 전기활성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전기에너지/수소를 생산하거나, 무기물로부터 유용한 유기물질을 합성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미생물과 전자의 흐름이 접목이 된 모든 기술을 포괄하여 생물전기화학 시스템(Bioelectrochemical systems, BES)이라고 통칭함.


ㅇ 전기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에너지/환경 기술은 그 기능과 구성에 따라 아래 4가지 경우로 분류될 수 있음.


- 미생물 연료전지(Microbial fuel cell, MFC):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가장 전통적인 BES의 형태이며, 산화전극 상 유기물(전자공여체)의 대사 과정에서 발생한 전자가 전기활성 미생물에 의해 전극으로 전달되고, 이후 회로를 거치면서 환원전극의 산소를 환원시키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함.


- 미생물 전해전지(Microbial electrolytic cell, MEC): MFC를 기반으로 하되 유기물의 화학 에너지를 수소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 환원전극 상 수소 발생의 열역학적 에너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해야 함.


- 미생물 전기합성(Microbial electrosynthesis, MES): MFC, MEC와는 달리 환원전극 상 전기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기술로, 1)수소이온, 2)이산화탄소, 3)환원전극으로부터 전달된 전자 등을 재료 삼아 무기물로부터 유용 유기물질을 합성하는 기술임. 유기물 합성을 위한 에너지를 충족하기 위해 외부 전력 공급이 필요함.


- 종간직접전자전달(Direct interspecies electron transfer, DIET): 공생 전기활성 미생물 사이에서 전자가 직접적으로 교환/전달되어 대사를 촉진하는 현상으로, 혐기소화조에서 메탄을 생성하는 대사 작용의 근간이 됨.

 

 

 

-----------------------------------------------------------------------------------------------------------------------------------------------------

 

 

 

전기활성.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웨어러블 전자소자용 고분자소재 5도토리 박민혁
741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 5도토리 박민혁
7418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분석] 줄기세포의 근육분화를 통한 배양육 연구 5도토리 박민혁
74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 5도토리 박민혁
74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정부·민간 분야 인공지능 투자 동향 분석 11도토리 박민혁
7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부 이슈와 주요 과제 9도토리 박민혁
741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디지털정부 평가모델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박민혁
7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2차전지 최근 기술 및 특허 동향 7도토리 박민혁
74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하반기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3도토리 김민성
74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자동차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2차전지 전해질 개발용 인공지능 시뮬레이터 기술 5도토리 김민성
74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정책·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74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간 컴퓨팅 산업·시장 및 정책동향 7도토리 나혜선
740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연구] 2023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 자료집 13도토리 나혜선
7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소비재 수출 동향 분석 9도토리 나혜선
74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미국투자 실무 가이드 13도토리 나혜선
7402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미국 정보통신혁신재단, 미국 차기 행정부를 위한 기술-경제 분야의 의제 권고 및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7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1Q 바이오헬스케어 상장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