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2차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연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통합 공고 모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99
용량 126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2차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연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통합 공고 모음.hwp 12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2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0 

 

세부사업명

규제과학 인재양성 및 글로벌 협력연구

내역사업명

식의약 규제과학 글로벌 협력연구

과 제 명

-

담당부서

기획조정과

참여부서

-

보안등급

일반과제

중복성 검토 실시 여부

O

기술료 대상여부

비대상

유전자변형

생물체실험

미포함

동물실험

포함

IRB 심의대상

인간 ( ) 인체유래물 ( ) 기타 ( ) 미해당(O)

기획근거

정책수요

국정과제 25(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2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2021-2025)’, ‘바이오헬스 규제과학 발전전략(’21.6)’ 등에 따라 식의약 규제과학 분야 국제 공동연구 추진 필요

내부수요

식의약 규제과학혁신법 마련에 따라 규제과학 국제협력 기반 구축으로 R&D 분야 규제과학 국제협력 연구 추진 필요

 

규제과학 혁신지원 방안 기획연구

외부수요

국내 규제과학대학과 미국 FDA의 규제과학혁신우수센터(CERSI) 업무협약* 체결 등 규제과학 연구 협력 필요

* 메릴랜드대 CERSI(‘23.6.5), UCSF-스탠포드대 CERSI(’23.8.22)

연구의

필요성

과학기술의 다양화 및 고도화에 따라 식품, 의약품 등 안전하고 효과적인 제품화 및 규제과학 기술의 국제조화로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글로벌 수준의 국내 규제과학 연구 고도화를 위해 해외 규제과학 우수 연구기관과의 협약 등에 기반한 국제협력 연구 추진 필요

연구기간 및

연구개발비

5(2+3), 연도별 200백만원 이내 지원

 

, 1차연도는 5개월, 83백만원 지원

연도별 예산확보 상황에 따라 연간 지원 예산 변동 가능

연도별 연구기간

정부출연금(백만원)

1단계

(2)

1차년도(`24)

83

2차연도(`25)

200

2단계

(3)

3차연도(`26)

200

4차연도(`27)

200

5차연도(`28)

200

연구목표

최종 연구목표

 

- 해외 규제과학 우수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 규제과학 기술* 국제 공동 개발

* 제품군별 안전성·유효성·품질 등에 관한 평가기술, 평가기준, 제품화지원 프로그램, 인재양성 교육과정 등

 

단계별 연구목표

 

- 단계별로 아래 제시된 성과목표를 모두 달성해야 함

- 전체 연구개발기간 내 규제과학 기술 관련 SCI(E) 논문 게재 3건 이상(JCR 기준 상위 20% 저널)

 

구분

성과목표

1단계

(2)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 국제 수준의 규제과학 기술() 1건 이상 마련

해외 연구기관과의 연구성과 공동 발표 1건 이상
(국제학술대회 구두발표 신청 의무)

2단계

(3)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 국제 수준의 규제과학 기술() 1건 이상 마련

해외 연구기관과의 연구성과 공동 발표 2건 이상
(국제학술대회 구두발표 신청 의무)

제시된 성과목표 이외 추가성과는 연구개발계획서 내 추가 제시 가능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웨어러블 전자소자용 고분자소재 5도토리 박민혁
741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 5도토리 박민혁
7418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분석] 줄기세포의 근육분화를 통한 배양육 연구 5도토리 박민혁
74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 5도토리 박민혁
74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정부·민간 분야 인공지능 투자 동향 분석 11도토리 박민혁
7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부 이슈와 주요 과제 9도토리 박민혁
741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디지털정부 평가모델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박민혁
7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2차전지 최근 기술 및 특허 동향 7도토리 박민혁
74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하반기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3도토리 김민성
74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자동차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2차전지 전해질 개발용 인공지능 시뮬레이터 기술 5도토리 김민성
74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정책·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74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간 컴퓨팅 산업·시장 및 정책동향 7도토리 나혜선
740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연구] 2023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 자료집 13도토리 나혜선
7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소비재 수출 동향 분석 9도토리 나혜선
74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미국투자 실무 가이드 13도토리 나혜선
7402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미국 정보통신혁신재단, 미국 차기 행정부를 위한 기술-경제 분야의 의제 권고 및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7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1Q 바이오헬스케어 상장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