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연구] 부경법상 상품·영업주체 혼동 행위 및 저명표지 희석화 행위의 판단기준 정립을 위한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28
용량 1.63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연구] 부경법상 상품·영업주체 혼동 행위 및 저명표지 희석화 행위의 판단기준 정립을 위한 연구.pdf 1.6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1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16 

제1장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24. 1. 16.자 「사법경찰직무법」1) 개정으로 상표경찰의 수사범위가 주요 부정경쟁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기존에는 부경법2) 제2조 제1호 가목(상품주체 혼동 행위)만 포함하고 있었으나 개정으로 부경법 제2조 제1호 나목(영업주체 혼동 행위), 부경법 제2조 제1호 다목(주지·저명표지 희석화 행위)이 추가되었다.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제재는 영미법의 부정경쟁행위에 의한 불법행위 손해배상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민사손해배상을 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구제수단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런 점에서민사손해배상이기는 하지만 금지청구를 인정함으로써 권리구제를 하는 방식을 취했다. 그런 점에서 형사처벌을 하는 것은 상표법의 특칙이라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상표법의 특칙에 해당하는 부경법 제2조 제1호 가목(상품주체 혼동 행위), 부경법 제2조 제1호 나목(영업주체 혼동 행위), 부경법 제2조 제1호 다목(주지·저명표지 희석화 행위)의 경우에 대해서 형사처벌을 하는 것은 상표법과 다른 부경법에서의 특징적인 점을 반영하여 형사처벌의 구성요건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자칫 상표법과의 구별 없이 부경법의 특징을 반영하지 못한 상태에서 형사집행을 하게 되면 부경법에 규율한 구성요건들의 의미에 대한 이해 없는 상태에서 잘못된 법집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

 

최근의 부정경쟁행위에 대해서 우리나라에서는 민사소송을 하는 것이 원칙적인 모습임에도 형사적인 해결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부경법 집행에 대한 이해로 인해서 형사집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기존에 형사사건 수사 시 참고할만한 부경법 연구자료가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서 형사적 관점에서 부경법 제2조 제1호 가목 내지 다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런 점에서 위의 「사법경찰직무법」 개정에 따라서 상표경찰 수사범위에 해당하는 부정경쟁 행위 유형에 대한 검토 및 부정경쟁행위 해당 여부 판단에 대한 근거 기준 마련 필요하게 되어 본 보고서를 작성하여 이런 필요성에 대응하고자 한다.

 

 

 

-----------------------------------------------------------------------------------------------------------------------------------------------------

 

 

 

부경법상.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웨어러블 전자소자용 고분자소재 5도토리 박민혁
741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 5도토리 박민혁
7418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분석] 줄기세포의 근육분화를 통한 배양육 연구 5도토리 박민혁
74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 5도토리 박민혁
74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정부·민간 분야 인공지능 투자 동향 분석 11도토리 박민혁
7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부 이슈와 주요 과제 9도토리 박민혁
741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디지털정부 평가모델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박민혁
7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2차전지 최근 기술 및 특허 동향 7도토리 박민혁
74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하반기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3도토리 김민성
74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자동차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0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2차전지 전해질 개발용 인공지능 시뮬레이터 기술 5도토리 김민성
74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정책·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74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간 컴퓨팅 산업·시장 및 정책동향 7도토리 나혜선
740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연구] 2023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 자료집 13도토리 나혜선
7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소비재 수출 동향 분석 9도토리 나혜선
74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미국투자 실무 가이드 13도토리 나혜선
7402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미국 정보통신혁신재단, 미국 차기 행정부를 위한 기술-경제 분야의 의제 권고 및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7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1Q 바이오헬스케어 상장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