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철강,비철 분야 - 계절적 비수기의 초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14
용량 1.09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철강,비철 분야 - 계절적 비수기의 초입.pdf 1.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17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철강/비철]: 계절적 비수기의 초입, 감산도 아직은 시기상조 


▪ 지난주 중국 철강 가격 열연 -0.6% WoW(이하 WoW), 냉연 -0.3%, 후판 -0.5%, 철근 -0.4%. 수익권에 위치한 철강사 비중 49.8%로 전주 대비 3% 하락했지만 정기 보수가 마무리된 고로들 가동 재개하며 중국 고로 활용도 7개월 내 최고치 기록. 생산량은 증가한 반면 중국 북부 지방 무더위, 남부 지방 강우 영향으로 수요 부진. 제철소 재고 3주, 유통 재고 2주 연속 증가세 지속. 원재료 가격의 하락도 제품 가격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 철광석 가격 $109(-1.8%), 철광석 선물 가격 $107(-1.1%). 중국 정부, 철강 업계 탄소 배출 축소 계획 발표. 철강 원재료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 부각되며 철광석 가격 주중 4.5%까지 하락. 일부 고로 가동 재개 및 저가 매수에 낙폭 축소. 코크스 가격 50위안 인하. 연초 이후 코크스 가격 8차례 연속 인상 후 4차례 인하 그리고 최근 다시 2차례 인하


▪ 구리 -1.9%, 아연 +0.4%, 연 -3.2%, 니켈 -3.8%, 금 +1.7%, 은 +1.4%. 미 달러 강세 및 재고 증가세 지속에 비철금속 가격 전반적으로 하락. LME 아연 재고만 감소세로 돌아서며 아연 가격 소폭 상승


▪ 계절적 비수기의 초입으로 향후 2달 간 철강 수요 부진 지속될 가능성 높음. 최근 중국 철강 감산의 필요성에 대한 언급 빈도 잦아지고 있음. 그러나 아직 강제성이 수반되지 않은 조치들로 유의미한 감산 효과 기대하기 힘듦

 

[주요뉴스]


CISA vice chair calls steel mills to produce on demand-basis (mysteel / 24.06.12)
▪ 중국철강협회 부회장이 주요 철강사들에게 수요에 기반한 생산 주문. 최근 수요 부진한 반면 높은 수준 생산 지속
▪ 최근 증가한 철강재 수출에 대해서도 문제 제기. 고품질 철강재 생산 확대를 위해선 리베이트 재개 필요성도 언급


Iron ore price tumbles to 2-month low on concerns over weakening China demand (mining.com / 24.06.11)
▪ 최근 철강 업계 탄소 배출량 축소에 대한 계획 발표에 화요일 철광석 선물 가격 2개월 내 최저 기록
▪ 해당 계획이 온전히 이뤄진다는 가정 하에 중국 조강생산량은 4,000만 톤가량 감소 예상. 이는 연간 생산량의 5%


포스코, 7월에도 광양제철소 정기 대보수 진행 (스틸데일리 / 24.06.14)
▪ 앞서 2월부터 4개월간 진행해 온 4고로 개수와 4월부터 시작된 2열연공장 합리화 공사 6월 중 마무리
▪ 광양제철소 2냉연공장 6월 중순-7월 중순, 1열연공장 6월 말-7월 중순 대보수 예정. 7월 말에는 후판공장 중수리 진행

 

 

 

-----------------------------------------------------------------------------------------------------------------------------------------------------

 

 

 

철강비철.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40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정책 및 기술동향 11도토리 민준석
73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수출입 전망 11도토리 민준석
739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3년 국가표준백서 13도토리 민준석
7397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4년 투자금융 ESG 가이드북 13도토리 민준석
739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구리 시장의 중요한 분기점 5도토리 민준석
7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고도로 정제된 물 - 초순수 9도토리 민준석
73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생성형 AI가 미국의 콘텐츠산업에 미치는 영향 5도토리 황세영
7393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인문도시의 주요성과 분석 및 지속가능한 사업 발전 방향 13도토리 이지훈
7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 5도토리 이지훈
739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극한환경과 고엔트로피합금 개발 5도토리 이지훈
7390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난임과 고위험 임신 간호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분석 7도토리 이지훈
738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신규과제 공고 5도토리 이지훈
738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2차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연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통합 공고 모음 5도토리 이지훈
738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고성능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의 전환을 위한 미래핵심기술개발 RFP 모음 5도토리 이지훈
7386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우주 진화를 이해하기 위한 은하단 연구 5도토리 이지훈
73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현대자동차그룹의 지배구조개편 투자전략 5도토리 정한솔
7384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주택 공급 활성화 방안 7도토리 정한솔
7383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부경법상 상품·영업주체 혼동 행위 및 저명표지 희석화 행위의 판단기준 정립을 위한 연구 13도토리 정한솔
7382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미국의 반도체 산업 인력 정책 제언 7도토리 정한솔
7381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공공분야 초거대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공공데이터 주권 클라우드 적용방향 1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