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 &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34
용량 642.22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 & 시사점.pdf 642.2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1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0 

1 개 요


□ 지난 6월 6~9일에 EU 27개국에서 치러진 2024년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 선거 결과, 51%의 투표율(2014년

    40.3%, 2019년 투표율 50.66%)을 기록하였으며, 중도우파 유럽국민당(EPP)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

      ※ 유럽의회 선거는 유럽연합 회원국의 성인 보통선거권에 의해 5년마다 실시되며, 회원국의 인구 규모에 비례하여 국가별

          의석 수가 배정(2024년에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폴란드 등의 국가 순)됨

      ※ 유럽의회는 환경규제책부터 이주, 산업, 외교・국방 정책에 이르기까지 유럽 전역에 적용될 법률을 결정하고 EU 예산을

          승인함. 집행위가 제안한 법안을 심의 수정할 수 있으며, 집행위원장과 위원 27명 임명 권한을 지님

  ❍ 유럽의회는 직접선거를 통해 구성되는 민주적 합법성을 갖춘 기관으로, 유럽의회 구성을 위한 투표율은 유럽 관련 이슈에 대한

      회원국의 정치적 관심 정도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음

  ❍ 본 원고에서는 유럽의회 선거 결과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2 선거 결과


□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 중도성향 정당의 축소와 강경우파 및 극우성향 정당의 의석 확대가 뚜렷
  ❍ 중도우파 유럽국민당(EPP)이 185석(25.7%)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지속적 차지(이전대비 9석 증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도좌파 사회민주진보동맹(S&D), 중도 자유당 그룹(Renew Europe)이 선전

  ❍ 또한, 강경 우파인 유럽 보수와 개혁(ECR)은 73석(10.1%)을 차지하면서 제4당의 자리로 올라서고, 극우 성향인 ‘정체성과

      민주주의(ID)’*가 58석(8.1%)을 득표

    *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 주요 국가에서 득표율이 크게 상승

  ❍ 친환경・지역중심의 녹색당-유럽자유동맹(Greens/EFA)의 의석 수는 52석(이전대비 20석 감소)

 

 

 

-----------------------------------------------------------------------------------------------------------------------------------------------------

 

 

 

유럽 선거.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 & 시사점 5도토리 정한솔
73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과학기술 현황 7도토리 정한솔
737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식시장의 발전과 경제 성장의 장기적 관계 7도토리 정한솔
7373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블록체인 서비스의 대중화 및 산업화 5도토리 정한솔
73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의 혁신생태계 특징 및 시사점 9도토리 정한솔
7371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주요 국가들의 SBOM 현황(공공부문 도입 및 R&D) 5도토리 강정훈
73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방송장비 산업 및 시장 동향보고서 11도토리 강정훈
73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경제 분야의 현재와 미래 5도토리 강정훈
7368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램프(LAMP) 사업 성과지표 및 성과관리 체계 개발 연구 13도토리 장민환
736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4년 상반기 디바이스 품 시장동향 7도토리 장민환
73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정부의 기업 기술개발 지원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 연계 방안 7도토리 장민환
73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안전한 AI 법안 - 주요 내용 및 시사점 3도토리 장민환
7364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철강산업 전망 - 비철금속 철강 양극화 7도토리 장민환
7363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정유,화학,에너지 산업 전망 - 없으면 뭔가 찝찝 11도토리 장민환
7362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로보틱스 산업 전망 - 이상과 현실 사이의 어딘가 11도토리 장민환
73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맞이한 국내외 질병 대응 전략 5도토리 장민환
73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 윤리 - 인간과 인공지능의 조화로운 공존 방안 5도토리 장민환
735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바이오경제를 위한 노력 5도토리 장민환
735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엔 플라스틱 협약의 주요쟁점 분석 및 대응방향 연구 13도토리 장민환
735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한국-걸프협력회의(GCC) FTA 타결에 따른 수출 유망 품목 및 협력 기회 1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