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디지털 경제 분야의 현재와 미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31
용량 1.67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디지털 경제 분야의 현재와 미래.pdf 1.6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1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9 

[요약]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디지털 기술 발전 동향 및 정책을 분석하고 디지털 경제를 조망하는 「OECD
Digital Economy Outlook 2024 (Volume 1)」를 발간

 

∙ OECD 주요 지표와 Google Trends Data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OECD 회원국 및 주요국의 디지털
기술 분야 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디지털 경제의 핵심인 ICT 분야에서 지난 10년간 대다수 국가가 강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3년 OECD 평균
약 7.6%로 최고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경제보다 약 3배 빠르게 성장

 

∙ ICT 분야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대체로 꾸준한 경제 성장세를 보였으며, COVID-19의
영향으로 전체 경제 성장률은 크게 하락했지만, ICT 분야의 경우 비교적 견고한 성장 추세를 유지
∙2011년 상위 25% 국가 그룹의 ICT 분야 평균 성장률은 하위 25% 그룹 대비 13배였으나, 2016년은 약 4배,
2023년 두 그룹은 약 2배 차이로 국가 간 ICT 분야의 성장률 격차는 감소

 

인공지능(AI)은 가장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생성형 AI 기업의 2023년 벤처캐피털(VC) 투자 규모가 급증

 

∙ AI 스타트업은 2014년 163억 달러에서 2023년 980억으로 투자 규모가 약 6배 증가하였으며, 2021년
2,126억 달러로 2020년에 비해 약 2.3배 증가
∙ 미국과 중국 AI 스타트업 기업이 주요 투자 대상이었으며, 2022년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서비스 분야 민간
투자 중 3분의 2 이상을 미국이 차지
∙ 2021년 이후 코로나-19 및 금융 시장 변동 영향으로 전체․AI 스타트업 VC 투자 시장은 주춤하였으나,
생성형 AI 기업의 경우 예외적 성장

 

미국, 유럽연합, 중국은 AI 분야 연구 성과가 꾸준히 증가했으며, 특히 중국은 최근 급격한 성장세

 

∙2023년을 기준으로 중국은 215,774편, 유럽연합은 137,313편, 미국은 109,014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인도, 영국, 캐나다, 일본, 한국이 뒤를 잇는 상황
∙AI 분야 “high-impact” 논문 비율 또한 중국이 꾸준한 상승세로 최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은
주춤한 상황

 

 

 

-------------------------------------------------------------------------------------------------------------------------------------------

 

 

 

 

디지털경제.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71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방송장비 산업 및 시장 동향보고서 11도토리 강정훈
871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 스마트폰 시장 현황 3도토리 강정훈
870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 현황 3도토리 강정훈
870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전문건설업 주요 자재 시장조사 13도토리 강정훈
87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의료기기 분야 신기술 특허 동향 5도토리 강정훈
870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미국의 자동차 조향장치 시장동향 3도토리 강정훈
870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러시아의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 개발동향 3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경제 분야의 현재와 미래 5도토리 강정훈
87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글로벌 트렌드를 주도하는 독일 전자상거래 시장 3도토리 강정훈
8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영국 원전 산업 동향(관계자 인터뷰) 3도토리 강정훈
870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일본의 태양광 패널 재활용 시장동향 3도토리 강정훈
870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자연재해 증가로 재난용품·발전기분야 성장세인 미국시장 3도토리 강정훈
8699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램프(LAMP) 사업 성과지표 및 성과관리 체계 개발 연구 13도토리 장민환
869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4년 상반기 디바이스 품 시장동향 7도토리 장민환
869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중국의 백신 시장동향 3도토리 장민환
869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의 반도체 전공정 소재 시장동향 5도토리 장민환
8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대체육 산업 및 규제동향 5도토리 장민환
86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현주소 3도토리 장민환
86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4년 베트남의 냉연강판 시장 3도토리 장민환
86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멕시코의 광산업 정보 3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