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OECD [변혁적 과학기술 혁신 정책 아젠다]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1.01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OECD [변혁적 과학기술 혁신 정책 아젠다]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pdf 1.0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5-3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1 개 요


□ 최근 과학기술 혁신 정책은 기후위기, 불평등의 심화, 지정학적 갈등 등 복합적인 위기 속에 미래 위기 대응력, 안보(security) 등을

    포괄하는 보다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이며 회복력있는 운영 모델로의 근본적 변화가 필요

  ❍ 급변하는 상황에 맞는 과학기술 혁신 정책의 재평가와 개혁을 위해 OECD 과학기술위원회(CSTP)는
    “  변혁적 과학기술 혁신 정책을 위한 아젠다(Agendas for Transformative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es)”*를

       제시

    * 최근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24.4.23~24)에서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미래를 위한 변혁적 과학기술혁신 정책’을 주제로

       과학기술 정책이 보다 과감하고 임무중심적이며 가치 지향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신흥기술 거버넌스’와 ‘변혁적 과학기술 혁신

       정책’에 대해 논의. 이 주제는 향후 10년간 모든 OECD 과학기술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가 될 예정(과기정통부, 2024)


□ 과학기술 혁신(STI) 정책은 경제사회 전환의 핵심 동력으로 국가 경쟁력과 경제 성장을 넘어 다양한 정책 영역을 포괄해야 하며

    혁신 추진을 위한 STI 변혁적 아젠다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그림1]

  ❍ 변혁적 목표(transformative goals)는 ①지속가능한 전환(sustainable transition) 추진, ②포용적 사회·경제적 재생(inclusive

      socio-economic renewal), ③회복력과 안보 제고

  ❍ 정책 방향(policy orientations)은 STI 정책 가치가 ①경제·사회적 문제 해결 ②폭넓은 공유 가치(shared values) 기반 ③다양한

      형태 혁신 스케일업과 확산 ④유해기술과 관행의 단계적 폐지 촉진 ⑤다양한 수준 간 체계적인 조정 ⑥실험적이고 민첩함을

      향하도록 논의
  ❍ 10개의 STI 정책 분야를 고려한 폭넓은 STI 정책 조합(policy mix)을 구성. 혁신적 변화 촉진을 도울 각 분야별 핵심적 4-5개 정책

      방안을 개괄적으로 설명. STI 자원(resources)과 STI 관계 (relations)의 10가지 구성요소를 제시 ([그림 1] 참조)

 

 

 

-------------------------------------------------------------------------------------------------------------------------------------------------------

 

 

 

아젠다.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671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3분기 이후 반도체 산업 및 시장 전망 5도토리 노민우
8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더 나은 사회를 여는 디지털 혁신 7도토리 노민우
86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트렌드에 발맞춰 뜨고 있는 호주의 로봇산업 7도토리 노민우
866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의 가상현실 활용 분야 확대 3도토리 노민우
866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산업의 인력수급 불일치 요인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86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수급 기본계획(인공지능과 원자력) 5도토리 노민우
8665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중국의 기능성 식품 시장 동향 3도토리 노민우
866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의 리소그래피 기계 시장 동향 3도토리 노민우
866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제약 바이오 전망 - 진정한 모멘텀을 찾아서 13도토리 노민우
86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올 한 해 결실을 맺는 인터넷게임 분야 7도토리 노민우
8661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식량정책 개선방안 연구 13도토리 국준아
8660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인구 변화에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정책 방향 9도토리 국준아
865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감염병 백신치료 산업분석 9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OECD [변혁적 과학기술 혁신 정책 아젠다]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5도토리 국준아
865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4년 1분기 국내외 태양광발전 시장 및 투자 동향 5도토리 국준아
86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13도토리 국준아
8655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 적정성 검토 13도토리 국준아
86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 - 기약이 없는 희망 고문 7도토리 국준아
86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양극,음극 소재와 원료에 대한 공급망 이슈 5도토리 국준아
86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신흥국의 재생에너지 산업 13도토리 국준아